북한을 시장의 개념이 아닌 ‘민족의 터전’이라는 시각에서 통일비전을 수립해 인프라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대한토목학회(회장 김문겸)가 7일 강남구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개최한 ‘제1회 그랜드 코리아 인프라 구축 심포지엄’에서 지상욱 한반도건설비전위원장은 “남한의 눈높이에 맞춘 개발계획이 아닌 북한 측의 시급한 현안에서부터 출발하는 개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이같이 제안했다.
이와 함께 허준행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는 발표문에서 “북한 인프라 개발을 통한 한반도의 경제·사회적 효과로는 ▲경제성장률 제고 ▲고용 증대 ▲국토 균형발전 등이 예상된다” 면서 “이를 위해 북측과의 교류협력과정에서 남북 간 의견충돌로 인한 혼란을 차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김문겸 회장도 “그동안 분산돼 추진됐던 통일 인프라 관련 연구성과와 정보를 집대성하고 정책·기술 환경에 맞는 최적의 종합 인프라 ‘마스터플랜’ 수립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이도운 기자 dawn@seoul.co.kr
이와 함께 허준행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는 발표문에서 “북한 인프라 개발을 통한 한반도의 경제·사회적 효과로는 ▲경제성장률 제고 ▲고용 증대 ▲국토 균형발전 등이 예상된다” 면서 “이를 위해 북측과의 교류협력과정에서 남북 간 의견충돌로 인한 혼란을 차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김문겸 회장도 “그동안 분산돼 추진됐던 통일 인프라 관련 연구성과와 정보를 집대성하고 정책·기술 환경에 맞는 최적의 종합 인프라 ‘마스터플랜’ 수립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이도운 기자 daw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