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A “北 탄도미사일 쏜 사일로, 두 달 만에 만든 초보 수준”

RFA “北 탄도미사일 쏜 사일로, 두 달 만에 만든 초보 수준”

서유미 기자
서유미 기자
입력 2023-03-22 00:36
업데이트 2023-03-22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간 위성사진 분석 결과 보도
미사일 발사 이후에 검게 변해

이미지 확대
北매체가 보도한 ‘주체무기’
北매체가 보도한 ‘주체무기’ 북한의 대외선전매체 조선의오늘이 21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대량살상무기 모습을 담은 사진 편집물 ‘3·18이 안아온 위력한 주체무기들’을 공개했다. 사진은 열차에서 발사한 철도기동 탄도미사일이 불꽃을 내뿜으며 하늘로 솟구치는 모습.
조선의오늘 홈페이지 캡처
북한이 지난 19일 지하격납고인 ‘사일로’(고정식 발사장치)에서 단거리탄도미사일(SRBM·KN23)을 발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위성사진 분석 결과 관련 시설이 최근 두 달 사이 건설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21일 보도했다.

RFA는 민간 위성사진 서비스 ‘플래닛 랩스’가 1~3월 동창리 서해발사장 인근을 촬영한 사진을 분석한 결과 최근 두 달 동안 지하 미사일 발사대로 추정되는 시설을 만든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지난 1월 18일부터 차량을 동원해 길을 닦았고 지난달 1일부터 발사대로 추정되는 시설을 공사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미사일 발사 이후인 20일에는 해당 지역이 검게 변해 있었다.

이에 따라 북한이 만든 사일로 시설은 두 달 만에 만들어진 초보적인 발사시설로 방어력이 뛰어나 보이진 않는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북한이 발사 방식을 다양화한다면 한미의 원점 타격 능력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미국 미들베리 국제학연구소 제임스 마틴 비확산연구센터(CNS)의 데이브 쉬멀러 선임연구원은 “복잡한 지하발사대가 아닌 미사일과 발사대를 넣을 수 있는 단순한 발사시설일 가능성이 높다”며 “지하발사대를 포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미사일 전력을 식별하고 감시하는 데 어려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 랜드연구소의 브루스 베넷 선임연구원은 “다양한 공격 방식은 적에게는 위협적”이라면서도 “두 달은 지하발사대 건설치고는 상당히 빠른 건설속도이고, 이런 속도로 지어진 지하발사대는 방어력이 뛰어날 것 같진 않다”고 평가했다.

북한이 지난 20일 공개한 전날 KN23 발사 장면에는 화염과 연기가 V자 형태로 솟구친 모습이 나타나면서 지하에 땅을 판 원통형 시설인 사일로에서 발사했다는 관측이 나왔다. 그동안 북한은 KN23을 이동식발사차량(TEL)이나 열차에 실은 TEL에서 발사했는데, 이때 화염은 바닥에서 옆으로 퍼지는 형태였다.

서유미 기자
2023-03-22 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