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북한 평양 금수산 영빈관에서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체결한 후 협정서를 들고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4.06.19 평양 AP 뉴시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10/SSC_20250110103606_O2.jpg.webp)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북한 평양 금수산 영빈관에서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체결한 후 협정서를 들고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4.06.19 평양 AP 뉴시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10/SSC_20250110103606_O2.jpg.webp)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북한 평양 금수산 영빈관에서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체결한 후 협정서를 들고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4.06.19 평양 AP 뉴시스
우크라이나 전쟁에 러시아를 지원하기 위해 파병한 북한이 러시아의 기술협력을 받아 무인기(드론)를 공동 개발해 올해부터 양산에 들어갈 전망이라고 일본 NHK가 9일 보도했다.
NHK는 러시아와 북한 관계에 밝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지난해 유사시 군사적인 상호지원 등을 명기한 ‘포괄적 전략 동반자 조약’을 체결한 양측이 드론 공동개발에 나섰다고 전했다.
공동 개발한 드론은 북한에서 올해부터 양산을 개시하며, 이는 북한이 러시아에 병력을 파견한 대가 중 하나라고 소식통은 지적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해 11월 자폭형 공격 무인기의 성능시험 현장을 찾아 양산을 강조한 바 있다. 당시 김 위원장은 새로 개발된 무인기의 전술적 특성과 제원에 만족하면서 하루빨리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본격적인 대량생산에 들어가라고 말했다.
한편 소식통들은 북한이 추진하는 핵무기 개발과 관련해선 러시아 측이 지원에 소극적이라고 전했다.
러시아는 북한의 핵실험으로 미국·중국을 비롯한 주변국들 관계가 복잡해지는 걸 피하고자 이러한 입장을 취하는 것으로 소식통은 분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