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일 연세의료원장 문답

박창일 연세의료원장 문답

입력 2010-01-10 00:00
업데이트 2010-01-10 17: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창일 연세의료원장은 10일 “대법원 판결에 따라 지난해 6월23일 인공호흡기를 제거하고 산소 및 영양공급 등 내과적 치료를 받았던 김 할머니가 신부전증과 폐부종 등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별세했다”고 밝혔다.

 박 원장은 “대법원 판결은 인공호흡기를 떼라는 것이었기 때문에 그동안 나머지 치료는 해드렸다”며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에게 깊은 애도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사인이 폐부종 등 다발성 장기부전이라고 했는데.

 △(주치의 박무석 교수) 폐부종과 신부전이 있으면 몸 안에 수분이 있게 돼 이뇨제 치료를 했다.가족은 인공호흡기와 심폐소생술 수혈 등은 거부하지만,항생제,영양제 공급,이뇨제 등의 내과적 치료는 처음부터 해달라고 얘기했다.

 --연명치료 중단이라고 볼 수 없나.

 △연명치료 중단이라고 보기는 어렵다.연명치료 중단을 얘기할 때는 영양,산소공급 등 모든 치료를 중단할 때 연명 치료 중단이라고 한다.이번 김 할머니에 관해서는 인공호흡기만 제거하고 다른 치료는 다 했다.

 --호흡기 제거와 산소 공급 중단이 어떻게 다른가.

 △인공호흡기는 환자가 호흡하기가 어려운 경우에 기도를 통해서 호흡 기계를 달아 기계 호흡으로 도와주는 것이다.인공호흡기를 안 하면 산소만 공급하면서 기도에 차는 분비물을 제거해주는 치료를 한다.

 --김할머니 사망과 관련해 존엄사의 의미는.

 △존엄사라는 용어 자체가 의학적으로는 적절치는 않다고 생각한다.존엄사는 지난번에 김수환 추기경께서 선종하셨을 때처럼 말기 환자가 돌아가실 때 어떤 조치를 안 하고 돌아가시도록 도와드리는 경우가 존엄사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김 할머니는 연명치료 중에서 단지 호흡기만 제거한 상태다.존엄사란 말은 이 경우에는 의학적으로 봐서 적절한 표현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최근 김할머니가 위독했다는데 경과는.

 △(주치의 박무석 교수) 인공호흡기 제거 후 얕은 호흡이지만 호흡이 유지되고 있었으나 중간중간에 10초 이상 숨을 안 쉰다든지,맥박이 감소하고 산소포화도가 70%까지 떨어지는 경우가 간간이 있었다.

 그런 고비를 넘기고 중간에 폐렴 증세를 보이거나 가래가 짙어지고 할 때 가족과 상의해서 항생제를 1주일씩 2~3번 사용했다.

 최근에는 소변량이 줄어들면서 호흡부전도 생기고 해서 어려워질 거란 얘기를 했다.오늘 오전에 산소가 감소하기 시작하면서 가족들이 모였다.

 --부검도 해야 하나.

 △이미 경찰에서 접수해 준비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최초 가족들이 사고라고 주장했는데,철회한 상태인가.

 △진행 중이다.아마 부검을 해서 확실히 봐야 알겠지만,다발성 골수종이 있는 것을 임상적으로 어느 정도 확인을 했다.그러나 최종적인 것은 골수검사를 해야 하는데 부검을 통해서 이런 것들이 명확하게 판결이 날 것으로 본다.

 --인공호흡기 제거가 사망 원인인가.

 △인공호흡기가 있었다면 폐부종이나 이런 게 안 오기 때문에 생명을 좀더 연장할 수 있었을 것이다.제거함으로써 할머니의 생명을 많이 단축시켰다고 생각한다.

 인공호흡기 제거하자마자 바로 위험한 고비를 몇번 넘겼다.산소포화도가 많이 떨어졌고 호흡도 정지될 정도였다.

 그때그때 치료를 했지만 인공호흡기가 있었으면 좀더 오래 살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