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여중생 납치살인 용의자 왜 못잡나

부산 여중생 납치살인 용의자 왜 못잡나

입력 2010-03-07 00:00
수정 2010-03-07 17: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부산 여중생 납치살인 용의자 왜 못잡나

 지난달 24일 부산 사상구의 한 다세대주택에서 실종됐던 여중생 이모(13) 양이 11일만에 이웃집 물탱크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됐지만 경찰은 이 양 납치살인 용의자로 지목된 김모(33) 씨의 행방에 대해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경찰이 연인원 2만여명을 동원해 대대적인 수색을 펼쳤음에도 김 씨를 못잡는 이유는 무엇일까?먼저 범죄상식을 벗어난 김 씨의 독특한 행각과 미로처럼 얽혀있는 골목길과 많은 빈집 등 지역적 특색이 결합돼 경찰의 용의자 검거가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양의 집이 있는 재개발예정 지역은 경기불황 등으로 진척이 지지부진한 상태에 빠져 하나 둘 집을 비우는 세대가 늘고 있다.

 싼 집값 때문에 저소득층이 모여살면서 누가 이웃인지도 모르는데다 낮엔 생계를 위해 외출하는 사람도 많아 빈집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알 수 없다는 것이 주민들의 말이다.

 이런 상황에서 수많은 빈집과 미로처럼 얽힌 골목길 등은 김 씨에게는 좋은 은신처이자 범행대상을 찾아내는데 안성맞춤으로 작용했다는 것이 경찰의 분석이다.

 총 11년간의 교도소 생활을 제외하곤 사상구 일대에서만 줄곧 생활해온 김 씨는 이곳 지리를 훤히 꿰뚫고 있어 경찰의 대대적인 수색을 피할 수 있었던 것으로 경찰은 파악하고 있다.

 또한 휴대전화나 운전면허가 없고 컴맹인 김 씨가 보여주는 대담한 행동들도 일반적인 범죄상식과는 벗어나 있어 경찰 수사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

 김 씨가 과거 여성을 성폭행한 후 10일간 감금했다가 풀어준 전력이 있었던 점을 들어 경찰이 실종 초기 수사력을 집중하는데 느슨한 점도 김씨 조기 검거에 실패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보통 범인들은 범행현장 부근에 잘 나타나지 않는 경향이 있는데도 김 씨는 공개수배 사실이 만천하에 알려진 다음날인 지난 3일 이 양의 집과 불과 20여m 떨어진 빈집에서 잠을 자다 경찰의 수색 사실을 눈치채고 도주했다.

 김 씨는 특히 경찰 수사를 비웃기라도 하듯이 이 양의 집에서 30여m 떨어진 권모(66) 씨 다세대주택의 물탱크에 이 양의 시신을 버리기까지 하는 대담함을 보였다.

 경찰은 실제로 이 양 실종 8일째 되던 지난 3일에서야 13개 경찰서에 차출된 전문 수사인력을 총동원해 대대적인 수색에 나섰다.

 경찰은 이 양의 시신이 발견되자 7일 수사전문인력으로 용의자 검거전담반을 구성해 용의자 김 씨의 연고지 위주로 수사를 벌여나가겠다고 밝히고 있으나 검거에 필요한 결정적인 단서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어 범인 검거가 이뤄질때까지 시민들은 불안에 떨 수밖에 없게 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