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유’ 법정 스님 주요 연표

‘무소유’ 법정 스님 주요 연표

입력 2010-03-11 00:00
수정 2010-03-11 15: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 1932년 10월 8일=전남 해남군 문내면 선두리 출생 △ 1954년=통영 미래사에서 효봉 선사를 은사로 입산 출가 △ 1956년 7월 15일=효봉 선사를 은사로 사미계 수계 △ 1959년 3월 15일=통도사 금강계단에서 자운율사를 계사로 비구계 수계 △ 1959년 4월 15일=해인사 전문강원에서 명봉화상을 강주로 대교과 졸업,이후 지리산 쌍계사와 가야산 해인사,조계산 송광사 등 선원에서 수선안거(修禪安居) △ 1960∼1961년=‘불교사전’ 편찬 작업에 동참 △ 1967년 동국역경원 편찬부장 △ 1972년 첫 저서 ‘영혼의 모음’ 출간 △ 1973년 불교신문사 논설위원,주필.‘씨알의 소리’ 편집위원.민주수호국민협의회와 유신 철폐 개헌 서명운동 참여 △ 1975년 10월 인혁당 재건위 사건에 충격,송광사 불일암으로 돌아감 △ 1976년 대표 저서인 ‘무소유’ 출간 △ 1984∼1987년 송광사 수련원 원장 △ 1985년 경전공부 모임 법사 △ 1987∼1990년 보조사상연구원 원장 △ 1992년 강원도 산골 오두막으로 거처를 옮기고 홀로 수행정진 △ 1993년 8월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 준비위원회 발족 △ 1993년 10월 10일 프랑스 최초의 한국 사찰인 파리 길상사 개원 △ 1994년 1월 1일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 창립 △ 1994년 3월 26일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 창립 기념 첫 대중법문을 서울,부산,대구,전주 등지에서 하며 지부 발족 △ 1995년 김영한(법명 길상화)씨의 대원각 시주를 받아들여 송광사 말사 ‘대법사’로 조계종에 등록 △ 1997년 1월 사단법인 ‘맑고 향기롭게’ 이사장 취임 △ 1997년 12월 14일 대법사를 ‘맑고 향기롭게 근본도량 길상사’로 바꾸고 창건 법회 △ 1998년 2월 24일 명동성당 축석 100돌 기념 초청 강연 △ 2003년 10월 ‘맑고 향기롭게’ 창립 10주년 기념 강연,파리 길상사 개원 10주년 기념 법문 △ 2003년 12월 맑고 향기롭게 근본도량 길상사 회주에서 스스로 물러남 △ 2010년 3월 11일 길상사에서 법랍 55세,세수 78세로 입적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서울 강북구 삼각산동에 위치한 고갯마루어린이공원이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는 복합 여가 물놀이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노후된 시설을 전면 개선하는 이번 사업은 현재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며 8월 중 완공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지난 7월 30일 강북구청 관계자들과 함께 공사 현장을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공적인 사업 마무리를 위한 의지를 다졌다. 이 의원은 현장점검을 통해 주요 공정의 추진 현황을 꼼꼼히 살피며 주민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재조성 사업은 총 15억원의 특별교부금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으로, 2023년 11월부터 공사가 본격화됐다. 기존의 단순 놀이공간은 타워형 조합놀이대와 물놀이시설이 어우러진 복합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하며, 커뮤니티 가든, 휴게 데크, 순환산책로 등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도 함께 조성된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물놀이 공간 확보는 물론,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꾸며지는 점이 주목된다. 사업 초기부터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중시한 점도 이번 사업의 특징이다. 이 의원과 강북구청은 일부 주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