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출수에 바이러스 함유 가능성 파주·안동 등 유출 신고 잇따라
“우선 묻기에 급급한 경우가 너무 많다. 2차 피해가 걱정된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21/SSI_2011012117410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21/SSI_20110121174102.jpg)
9명의 인원이 격리된 채 한개의 시를 책임지고 있다. 김씨는 “하루에 3~4군데씩 매몰하는 상황에서 주위에 지하수 등이 없는 땅을 구하는 건 책에서나 나오는 소리”라면서 “무조건 발병 농장에 묻는 것이 현장의 원칙”이라고 말했다. 21일 구제역 가축 매몰 현장에서 사투를 벌이고 있는 방역요원들은 규정대로 매몰을 하지 못한 경우는 구제역 확산을 긴급히 막기 위해 어쩔 수 없다고 밝히면서 앞으로 다가올 2차 환경 오염이 심각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우선 침출수는 구제역 바이러스를 함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매몰지에 모인 침출수는 원칙적으로 수의과학검역원에서 구제역 바이러스 함유 검사를 한 후 정화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침출수를 모으는 조류조를 설치하지 않거나 구덩이를 둘러싼 비닐이 찢어지면서 침출수가 유출되면 심각한 환경오염을 가져올 수 있다. 이미 경기도 22곳에서 침출수를 모으는 조류조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가 적발된 바 있다. 경기 파주시와 경북 영천시·안동시 등에서 침출수 유출 신고가 잇따르고 있다.
수의학계는 소(500~600㎏)의 경우 일주일 후 80ℓ, 2개월 후 160ℓ 침출수가 나오고 돼지는 각각 6ℓ와 12ℓ가 나오는 것으로 보고 있다. 향후 침출수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는 의미다. 장기적인 오염은 더욱 심각하다.
영국의 경우 2001년 대규모 구제역 발생 후 실태조사에서 침출수가 지하수로 유입되는 상황이 20년 이상 계속 나타날 수 있고 환경 호르몬인 다이옥신과 발암물질인 폴리염화비페닐(PCBs) 등에 의한 토양 오염도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강근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장(서울대 교수)은 “국민의 동요를 막기 위해 구제역 주변 매몰지 자료를 정부가 통제하고 있지만 대신 정부가 잦은 점검을 통해 침출수를 차단하는 보완공사를 면밀하고 성실히 수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경주·황비웅기자
kdlrudwn@seoul.co.kr
2011-01-22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