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우 전 대통령에 대한 ‘침 시술’ 의혹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김창 부장검사)는 2일 오후 시술자의 신원을 확인해달라는 진정서를 낸 대한한의사협회 관계자 2명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한다.
검찰은 이들에게 진정서 제출 이유와 진정 내용을 확인할 예정이다.
검찰은 지난달 11일 협회 진정서가 들어온 정보수집 과정을 거쳐 지난주 구체적인 수사계획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사건 수사를 위해 침 시술을 받은 노 전 대통령의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진정을 한 당사자가 아니어서 고심했던 것으로 보인다.
앞서 노 전 대통령은 지난 4월 가슴 통증으로 서울대병원에 입원했다가 엑스레이와 내시경 검진 결과 길이 7㎝의 한방용 침이 기관지를 관통한 것이 발견돼 제거 수술을 받고 지난달 2일 퇴원했다.
이에 한의사협회는 지난달 “노 전 대통령의 기관지에서 발견된 침의 종류와 모양, 협회 회원을 상대로 한 조사 등을 종합해볼 때 무자격자에 의한 불법 시술일 가능성이 크다”며 검찰에 진정서를 내고 수사를 요청했다.
한의사업계에서는 침뜸으로 유명한 구당(灸堂) 김남수옹이나 그에게서 침뜸을 배운 사람들의 모임인 ‘뜸사랑’ 회원이 시술한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그러나 김옹 측은 이를 부인하며 “노 전 대통령 측에서 침 시술자를 직접 밝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검찰은 이들에게 진정서 제출 이유와 진정 내용을 확인할 예정이다.
검찰은 지난달 11일 협회 진정서가 들어온 정보수집 과정을 거쳐 지난주 구체적인 수사계획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사건 수사를 위해 침 시술을 받은 노 전 대통령의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진정을 한 당사자가 아니어서 고심했던 것으로 보인다.
앞서 노 전 대통령은 지난 4월 가슴 통증으로 서울대병원에 입원했다가 엑스레이와 내시경 검진 결과 길이 7㎝의 한방용 침이 기관지를 관통한 것이 발견돼 제거 수술을 받고 지난달 2일 퇴원했다.
이에 한의사협회는 지난달 “노 전 대통령의 기관지에서 발견된 침의 종류와 모양, 협회 회원을 상대로 한 조사 등을 종합해볼 때 무자격자에 의한 불법 시술일 가능성이 크다”며 검찰에 진정서를 내고 수사를 요청했다.
한의사업계에서는 침뜸으로 유명한 구당(灸堂) 김남수옹이나 그에게서 침뜸을 배운 사람들의 모임인 ‘뜸사랑’ 회원이 시술한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그러나 김옹 측은 이를 부인하며 “노 전 대통령 측에서 침 시술자를 직접 밝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