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사회정책 보고서’
우리나라의 대학 등록금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세 번째로 고액인 반면 정부 장학금과 학자금 대출 비율은 OECD 평균에 훨씬 못 미친다는 OECD 보고서가 공개됐다.20일 OECD가 공개한 ‘OECD 사회정책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성적이 탁월하고 대학교육 수준이 높다.’면서도 “하지만 대졸자 취업난이 심각하고, 치열한 교육경쟁으로 인해 가계에 막대한 부담이 가해지고 있으며, 이는 평등·사회통합 및 출산율에도 심각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대학등록금은 OECD 회원국 중 세 번째로 높았다. 지난해에는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이에 비해 정부 장학금 비율은 공공교육비의 4.4%로, OECD 평균인 11.4%의 3분의1 수준에 불과했다. 학자금 대출 비율 역시 5.7%로 OECD 평균 8.8%보다 크게 낮은 수준이었다. OECD는 ‘한국의 대학교육에 대한 공공부문 분담비율도 2000~2007년 하락세를 보여 OECD 평균인 69%에 미달하며, 등록금 지불에 대해 세금 공제는 받지만 대학교육비의 대부분을 가정이 부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OECD는 또 ‘치열한 대학입시로 학생들의 스트레스가 크고 창의력·독창성 등이 희생되고 있으며, 기술고등학교도 본래의 취지와 달리 졸업생의 3분의 2가 대학에 진학하는 등 직업훈련이 취약하다.’고 보고했다.
OECD는 이어 유아교육의 경우 초등교육 이전 단계에 대한 지출 수준은 OECD 평균보다 30% 정도 적고(2007년 기준) 민간 부문의 지출이 OECD 평균은 20%인데 반해 한국은 절반 정도를 차지해 민간 부담률이 높다고 분석했다.
초·중등 교육에서의 과도한 학원비 부담도 지적됐다. OECD는 학원 수업료로 한국의 각 가정이 평균 한달 수입의 8%를 지출하며, 이는 국내총생산(GDP)의 2.2%에 해당한다고 추산했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1-06-21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