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명 수용·방호기능 강화
“아직도 불안하죠. 또 미사일 쏘고 그러니까…. 그래도 정부가 튼튼한 대피시설을 지어주고 집도 고쳐주니까 마음이 놓이네요.”![17일 인천 옹진군 연평초등학교 옆에 준공된 연평 제1대피시설을 주민들이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17/SSI_20120417182130.jpg)
연합뉴스
![17일 인천 옹진군 연평초등학교 옆에 준공된 연평 제1대피시설을 주민들이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17/SSI_20120417182130.jpg)
17일 인천 옹진군 연평초등학교 옆에 준공된 연평 제1대피시설을 주민들이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17일 행정안전부는 인천 옹진군 연평도에서 방호시설을 대폭 강화한 주민대피시설 준공식을 가졌다.
준공식에는 맹형규 행안부 장관과 박상은 국회의원, 조명우 인천 행정부시장, 조윤길 옹진군수, 주민들이 참석했다. 북한의 포격 도발로 폐허가 된 현장에서 안보교육장 착공식도 열렸다.
이날 공개한 연평 제1대피시설은 포격 당시와는 달랐다. 대피시설은 산비탈면 등 자연 지형지물을 최대한 활용했다. 벽면을 강화한 것이 눈에 띈다. 콘크리트를 50~60㎝로 타설해 북한의 주 화력무기인 122㎜ 방사포 포격에도 안전하게 지었다. 흉물스럽던 외관은 깨끗하게 단장됐다.
내부는 더 변했다. 좁고 어둡고 매캐하던 내부는 넓고 환하게 변했다. 족히 500명은 들어갈 수 있었다. 자체 발전기와 급수시설도 갖췄다. 조리대, 화장실 등을 설치해 장기간 체류할 수 있게 했다. 비상진료 약품과 전투식량도 비치했다.
으슥한 공간으로 방치되는 것을 막기 위한 대책도 마련됐다. 옹진군은 평소 이곳을 마을회관, 체력단련실, 독서실 등 다목적 시설로 운영하기 위해 관련 시설물을 보강키로 했다.
서해5도에는 117개의 대피시설이 있었으나 규모가 작고 만들어진 지 오래돼 주민들이 안전하게 대피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정부는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을 계기로 대피시설 현대화 사업을 추진해 연평도 7곳, 백령도 26곳 등 42개 대피시설을 새로 완공했다.
연평도 박성국기자 psk@seoul.co.kr
2012-04-18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