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9월 1일부터 도내 21개 노선 광역급행버스(일명 M버스)의 빈자리 정보를 스마트폰과 홈페이지, 자동응답전화(ARS) 등으로 실시간 제공한다고 28일 밝혔다.
전국에서 처음으로 실시하는 것이다.
광역급행 버스는 입석금지로 논란된 직행좌석형 버스와 다른 종류이다.
M버스는 2009년 도입 당시부터 좌석제로 운행됐다.
버스 앞유리 전광판에 빈자리가 표시되지만 출입문에 설치된 센서가 승·하차 인원을 감지하다보니 정확도가 75% 수준에 불과해 이용객 불편이 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는 지난해말부터 승·하차 인원을 파악할때 교통카드 이용정보를 활용하도록 개선했다.
또 이동통신기술을 적용, 운행 중인 버스의 빈자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그 결과 빈자리 정보의 정확도가 95%까지 올랐다. 나머지 5%는 현금승차 때문이며 이는 버스기사가 보정하도록 했다.
빈자리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 스마폰 앱 ‘경기버스정보2’를 내려받아야 한다.
이와 함께 도는 버스정보를 더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 홈페이지(www.gbis.go.kr)를 개편했다.
자동응답전화(ARS) 1688-8031로도 노선별 빈자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는 올해 말까지 직행좌석형 버스에도 이 시스템을 적용하고 내년에는 시·군에서 운영하는 정류소 전광판으로도 빈자리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전국에서 처음으로 실시하는 것이다.
광역급행 버스는 입석금지로 논란된 직행좌석형 버스와 다른 종류이다.
M버스는 2009년 도입 당시부터 좌석제로 운행됐다.
버스 앞유리 전광판에 빈자리가 표시되지만 출입문에 설치된 센서가 승·하차 인원을 감지하다보니 정확도가 75% 수준에 불과해 이용객 불편이 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는 지난해말부터 승·하차 인원을 파악할때 교통카드 이용정보를 활용하도록 개선했다.
또 이동통신기술을 적용, 운행 중인 버스의 빈자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그 결과 빈자리 정보의 정확도가 95%까지 올랐다. 나머지 5%는 현금승차 때문이며 이는 버스기사가 보정하도록 했다.
빈자리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 스마폰 앱 ‘경기버스정보2’를 내려받아야 한다.
이와 함께 도는 버스정보를 더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 홈페이지(www.gbis.go.kr)를 개편했다.
자동응답전화(ARS) 1688-8031로도 노선별 빈자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는 올해 말까지 직행좌석형 버스에도 이 시스템을 적용하고 내년에는 시·군에서 운영하는 정류소 전광판으로도 빈자리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