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근로자 10명중 4명 비정규직…”고용불안 심각”

대기업 근로자 10명중 4명 비정규직…”고용불안 심각”

입력 2015-06-30 15:27
수정 2015-06-30 15: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업규모 클수록 간접고용 많아…1천인 이상 기업 간접고용 비율 23% 넘어

기업 규모가 클수록 파견·하도급·용역 등 간접고용 근로자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 안정에 앞장서야 할 대기업이 되레 고용 불안을 부추긴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30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3천233개 대기업의 고용형태공시 결과에 따르면 전체 근로자 459만 3천명 중 직접고용 근로자는 367만 6천명(80%), 사업주에 소속되지 않은 간접고용 근로자는 91만 8천명(20%)이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간접고용 근로자의 비율은 0.1%포인트 높아졌다.

고용형태공시제는 상시 300인 이상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업주가 매년 3월31일 기준으로 근로자 고용형태를 공시토록 하는 제도다.

직접고용 근로자 중 정규직 근로자는 283만 4천명(77.1%), 계약기간이 정해진 기간제 근로자는 84만 2천명(22.9%)이었다.

전체 근로자 중 간접고용과 기간제 근로자를 합친 비정규직 근로자는 176만명(38.3%)에 달했다. 대기업 근로자 10명 중 4명이 고용 불안에 시달리는 비정규직인 셈이다.

더구나, 기업규모가 클수록 간접고용 근로자의 비율이 높았다.

근로자 1천인 미만 기업의 간접고용 비율은 13.4%였지만, 1천인 이상 기업에서는 23%에 달했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44.6%), 예술·스포츠(27.1%), 제조(25.0%), 도·소매(22.9%) 분야의 간접고용 비율이 높았다.

직접고용 중 기간제 근로자 비율이 높은 산업은 부동산·임대(64.4%), 건설(52.7%), 사업시설관리·지원서비스(49.4%) 등이었다.

건설업은 간접고용과 기간제 근로자 비율 모두 매우 높아 고용구조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고용 중 단시간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산업은 숙박·음식점(41.8%), 교육서비스(17.7%), 도·소매(12.2%) 등이었다. 전 산업 평균은 5.3%다.

제조업 내에서는 조선, 철강업종의 간접고용 비율이 매우 높았다. 제조업 평균이 25%인데 비해, 조선은 67.8%, 철강금속은 37.9%에 달했다.

민주노총 박성식 대변인은 “파견, 하도급 등 간접고용을 하게 되면 산업재해에 대한 원청업체의 책임 회피가 쉬워진다”며 “최근 조선, 철강업종에서 산재 사망사고가 잇따른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고 말했다.

근로자 수 2만명 이상 대기업 13곳 중 간접고용 비율이 20%를 넘는 기업은 6곳에 달했다. 현대중공업(62.4%), KT(43%), 롯데쇼핑(28.8%), 홈플러스(23.6%), 이마트(23.3%), 삼성전자(20.7%) 등이었다.

기간제 근로자를 5천명 이상 고용하면서 기간제 비율이 70%를 넘는 기업은 우리관리(98.7%), 이랜드파크 외식사업부(87.1%), 한국맥도날드(78.9%), 유니에스(76.3%), 롯데리아(74.7%) 등 5곳이었다.

매출 상위 10대 기업 중 간접고용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삼성물산으로 64.7%에 달했다.

이어 현대중공업(62.4%), 포스코(47.3%), GS칼텍스(45.6%), 현대모비스(42.1%), 에쓰오일(23.8%), 삼성전자(20.7%), 현대차(14.2%), 기아차(12.5%), LG전자(7.5%) 순이었다.

근로자 1천인 이상 기업 중 지난해에 비해 올해 간접고용비율 상승폭이 큰 기업은 성창E&C로 77.6%포인트 상승했다.

이어 현대산업개발(75.1%포인트), 한진·성동조선해양(69.4%포인트), 에프앤씨시스템(49%포인트), 현대엔지니어링(44.7%포인트), 현대파워텍(43.7%포인트), 여천NCC(35.3%포인트) 순이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