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동생은 학업 중… 둘 다 미혼
1985년 10월 12일 오전 5시 10분. 서울대병원 분만실에서 남녀 쌍둥이가 5분 차이로 첫 울음을 터뜨렸다. 국내 최초 시험관 아기들이 세상의 빛을 보는 순간이었다. 당시 서울대병원 산부인과에 근무하던 문신용(현 엠여성의원장)·장윤석 교수팀은 제왕절개수술로 남매를 건강하게 받아냈다.이들이 태어난 지 꼭 30년이 지났다. 지금 이들은 어떤 모습일까. 쌍둥이와 최근까지 연락을 주고받았다는 문 교수는 “쌍둥이 누나는 교직에 종사하고 남동생은 군 전역 후 학업을 계속하고 있다”고 전했다. 둘 다 미혼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험관 아기는 정자와 난자를 부부의 몸에서 채취해 체외에서 수정시키는 방식으로 태어난다. 30년 전에는 체외에서 정자와 난자를 수정하는 기술, 배양하는 기술, 이식하는 기술 등이 완전하지 않아 성공이 어려웠다. 문 교수는 “이 쌍둥이가 태어나기 전에 임신, 출산에 성공하지 못한 부부도 많았다”고 회고하고 “당시 프로그램에 참여해 준 모든 분들에게 좋은 소식을 전하지 못한 것이 지금도 아쉽다”고 털어놨다.
지난해까지 정부의 난임 부부 지원 사업을 통해 태어난 시험관 아기(체외수정)는 총 6만 6064명에 이른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5-10-1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