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리사회, 前특허변호사회장 제명…변호사 - 변리사 영역갈등 ‘재점화’

변리사회, 前특허변호사회장 제명…변호사 - 변리사 영역갈등 ‘재점화’

김양진 기자
입력 2017-01-31 22:36
수정 2017-02-01 02: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변협 측, 변리사회 법적 대응

변호사와 변리사 간의 특허소송 시장을 둘러싼 밥그릇 싸움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대한변리사회는 31일 변호사의 변리사 역할을 강조해 온 김승열(56·사법연수원 14기) 전 대한특허변호사회장을 최근 제명했다고 밝혔다. 변리사법상 변리사 업무를 하려면 협회에 의무 가입해야 하기 때문에 김 전 회장 제명은 ‘변리사 업무를 더는 하지 말라’는 선고와 똑같다. 변리사회는 “김 전 회장이 특허변호사회 창립을 주도하며 특허침해 소송에서 변리사의 소송대리권을 부정하고 변호사의 역할을 강조하는 등 변리사의 정체성을 훼손했다”고 제명 이유를 밝혔다.

김 전 회장은 지난해 1월 변리사 자격을 가진 변호사들을 모아 특허변호사회를 설립했다. 변호사가 변리사 자격을 취득하려면 일정 기간 변리사 수습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내용으로 2015년 말 변리사법이 개정되자 변리사 자격을 가진 변호사들의 단결을 도모한 것이다. 두 직역은 특허침해 소송에서 변리사에게 소송대리권을 부여하는 문제와 변호사의 변리사 자동취득 제도를 두고 갈등을 빚어왔다. 특허·지식재산 분야는 변리사의 주 활동 무대였지만, 최근 이 분야로 진출한 변호사가 늘어나면서 영역 다툼이 심화한 게 갈등의 주원인이다. 이런 상황에서 특허변호사회 출범을 못마땅하게 여긴 변리사회 측이 주도자 격인 김 전 회장을 제명하는 상황까지 치닫게 된 것이다.

변리사회 측은 “김 전 회장이 언론 등을 통해 변리사회 이익에 반하는 주장을 펼쳤기 때문에 제명은 당연하다”는 입장이지만 김 전 회장은 “변리사시험 출신들의 집단 이기주의”라고 반발했다. 김 전 회장 제명을 둘러싼 두 직역 간 갈등은 법정 다툼으로도 비화하고 있다. 변호사들은 변리사회의 부당한 결정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분위기다. 실제로 황용환 전 변협 사무총장은 오규환 변리사회 회장을 지난달 20일 위력에 의한 업무방해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7-02-01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