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축 처진 중·장년의 어깨… 소득 3.8% 늘 때 빚 7.1% 증가

더 축 처진 중·장년의 어깨… 소득 3.8% 늘 때 빚 7.1% 증가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21-12-21 22:32
수정 2021-12-22 02: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0명 중 6명은 내 집 없어

지난해 중·장년(만 40∼64세) 소득은 3.8% 늘었는데 빚은 7.1%나 증가해 속도가 훨씬 가팔랐다. 130만명가량이 일자리를 잃고 실직 상태로 전락했다. 중·장년층 10명 중 6명은 내 집이 없었다.

21일 통계청이 발간한 ‘2020년 중·장년층 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중·장년층 인구는 2008만 6000명으로 총인구의 40.1%를 차지했다. 이들 중 벌이가 있는 사람의 평균 소득은 3692만원으로 2019년(3555만원)보다 3.8% 늘었다.

하지만 같은 기간 대출잔액 중앙값(일렬 정렬 시 가운데 있는 값)은 4856만원에서 5200만원으로 7.1% 증가했다. 소득보다 빚이 늘어난 속도가 빨랐던 것이다. 2019년에는 취업자였는데 지난해 일자리를 잃어 미취업자로 잡힌 사람은 137만 8000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약 80%인 111만 9000명은 월급쟁이(임금근로자)였다가 실직 상태가 됐다. 실직한 사람 중 직전 일자리 임금 파악이 가능한 이들(85만 7000명)의 월평균 임금은 311만원이었다. 반대로 2019년 일을 하지 않았는데 지난해 취업한 사람은 142만 5000명이었다. 이들 중 임금 파악이 가능한 사람(83만 3000명)의 월평균 임금은 233만원에 그쳤다. 중·장년층은 실직했다가 재취업을 해도 소득이 이전 직장보다 훨씬 낮다는 걸 보여 준다.

중·장년층 중 집을 갖고 있는 사람 비중은 43.1%로 1년 전보다 0.6% 포인트 늘었다. 10명 중 6명 가까이가 무주택자인 것이다. 중·장년층 가구에서 가구원(본인·배우자·자녀 등)이 한 명이라도 집을 가진 경우는 64.3%였다. 가구별로 봐도 중·장년층 35.7%는 내 집이 없는 셈이다. 집을 가진 사람의 평균 소득은 4618만원으로 그렇지 않은 사람(2894만원)보다 1.6배 많았다. 대신 빚도 많았다. 주택소유자의 대출잔액 중앙값은 무주택자(2780만원)보다 3.5배나 많은 9840만원에 달했다. 공적·퇴직연금에 가입 중인 중·장년층은 75.3%로 전년 대비 0.8% 포인트 늘었다.



2021-12-2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