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도청 회의실에서 김관영 도지사(좌측부터)와 이정성 대상주식회사 종가RPD부문장, 심덕섭 고창군수, 이 참석한 가운데 ‘고창 사시사철 김치특화산업지구 활성화’를 위한 상생협력 업무협약식이 열렸다. 전북도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14/SSC_20250114180830_O2.jpg.webp)
![14일 도청 회의실에서 김관영 도지사(좌측부터)와 이정성 대상주식회사 종가RPD부문장, 심덕섭 고창군수, 이 참석한 가운데 ‘고창 사시사철 김치특화산업지구 활성화’를 위한 상생협력 업무협약식이 열렸다. 전북도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14/SSC_20250114180830_O2.jpg.webp)
14일 도청 회의실에서 김관영 도지사(좌측부터)와 이정성 대상주식회사 종가RPD부문장, 심덕섭 고창군수, 이 참석한 가운데 ‘고창 사시사철 김치특화산업지구 활성화’를 위한 상생협력 업무협약식이 열렸다. 전북도 제공
전북특별자치도가 김치 산업의 거점화를 통한 대한민국 농생명산업 선도를 위한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전북도는 14일 도청 회의실에서 대상(주), 고창군과 함께 ‘고창 사시사철 김치특화산업지구 활성화’를 위한 상생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관영 도지사와 심덕섭 고창군수, 이정성 대상주식회사 종가RPD부문장이 참석한 가운데 농생명산업지구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과 비전이 논의됐다.
협약에 따라 전북도와 고창군은 농생명산업지구에서 활동하는 기업과 농가를 위한 추가 특례를 발굴하고, 김치 원료 공급 거점화 단지를 육성하기 위한 생산 기반 및 기업유치 환경조성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대상 주식회사는 김치 생산, 수확, 보관 등 전 과정에 관한 기술을 이전하고, 농가 조직화와 품질 균일화를 통해 김치 산업의 품질 고급화와 유통 활성화를 도모하기로 했다.
대상 주식회사는 순수 국내 자본과 기술로 1956년 설립된 국내 최고의 종합식품기업으로, 세계 3대 발효전문기관으로 평가받는다.
![‘고창 사시사철 김치특화산업지구’ 위치도. 전북도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14/SSC_20250114180848_O2.png.webp)
![‘고창 사시사철 김치특화산업지구’ 위치도. 전북도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14/SSC_20250114180848_O2.png.webp)
‘고창 사시사철 김치특화산업지구’ 위치도. 전북도 제공
대상 주식회사 이정성 상무는 “전북이 가장 강점을 지닌 분야인 농생명산업을 육성하는 농생명산업지구에 동참할 수 있어서 뜻깊다”며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고창 사시사철 김치산업지구가 국가 김치산업의 거점화 단지로 육성될 수 있도록 함께 하겠다”고 밝혔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농생명산업지구에서 특례 적용, 행․재정적 지원을 통한 기업 유치, 청년농 유입 등으로 특별자치도 출범의 의의와 성과를 도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더욱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며 “전북 농생명산업지구는 농업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미래 농업을 선도하는 핵심 거점으로 성장시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북 농생명산업지구 7개 선도지역은 ▲고창군 사시사설김치특화산업지구 ▲남원시 ECO 스마트팜 산업지구 ▲저탄소 장수한우 산업화벨트 구축 ▲순창 미생물 농생명산업지구 ▲익산시 동물용 의약품 산업 지구 ▲진안군 홍삼한방산업 진흥지구 ▲임실엔치즈·낙농 산업지구로 구성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