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청사 전경 (부산시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0/SSC_20250120112904_O2.jpg.webp)
![부산시청사 전경 (부산시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0/SSC_20250120112904_O2.jpg.webp)
부산시청사 전경 (부산시제공)
부산시가 빅데이터에 기반한 시내버스 노선 개편에 나선다.
시는 올해 상반기 내 시내버스의 장거리 노선과 배차간격 증가로 인한 시민 불편을 해소하고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빅데이터 기반 시내버스 노선 개편을 시행할 계획이다.
그동안 기장군과 강서구 등으로 도시 외형이 확장되면서 버스의 장거리 노선이 증가했다. 이에 따라 시내버스 운행 시간은 2007년 평균 109분에서 2023년 161분으로 급증했다. 평균 배차간격도 같은 기간 10분대에서 17분으로 늘었다. 시민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시민이 가장 원하는 것도 ‘장거리 노선 조정’과 ‘배차 간격 단축’으로 나타났다.
시는 ‘장거리 노선 조정’과 ‘배차 간격 단축’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용역을 통해 시내버스 노선 개편안을 마련할 계획인데, 시의회와 구·군 의견조회, 주민설명회 등을 거쳐 시민 의견을 수렴한 뒤 이를 적극 반영한 노선 개편을 시행할 계획이다.
한편 부산의 대중교통 분담률은 2023년 44.4%(버스 24.6%·철도 19.8%)로 코로나 팬테믹 이전 2019년 44.3%를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BRT(버스 중앙차로제) 확충이 대중교통 수송 분담률 상승의 주요한 원동력으로 보고있다.
시는 코로나19 시기인 2022년까지 ▷내성~중동 10.4㎞ ▷내성~서면~광무교 6.6㎞ ▷서면~충무 8.6㎞ ▷서면~사상 5.4㎞ 등 4개 구간 30.3㎞의 BRT를 개통했다. 향후 ▷문현~수영 ▷대티~하단 ▷하단~진해 등으로 확장하기 위한 중장기계획도 마련 중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