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없음).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13/SSC_20241213175903_O2.jpg.webp)
![KTX(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없음).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13/SSC_20241213175903_O2.jpg.webp)
KTX(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없음). 서울신문 DB
‘저속철’이라는 오명을 받는 전라선이 진정한 고속철로 탈바꿈할 수 있을까.
최근 전라선 고속화 사업에 대한 정부 예비타당성조사가 시작돼 그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지난 2012년 여수세계박람회를 앞두고 복선전철화가 완료된 전라선은 익산에서 여수까지 곡선주로가 많은 기존 선로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시속 120㎞로 운행되고 있다.
서울에서 여수까지 3시간이 넘게 소요되며 저속철이라고도 불린다.
전라선 권역은 연간 1000만 관광객이 찾는 전주 한옥마을, 순천만 국가정원, 여수엑스포 등 관광자원이 풍부해 방문객들이 지속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관광객을 실어 나를 열차 속도가 너무 느리다는 지역의 불만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에 전북과 전남에서 익산~여수 구간의 복선전철 고속화 사업을 추진했다.
1조 9326억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 범위는 177.2km(기존선 활용 134.8㎞, 신설 42.4km)에 달한다.
급경사·급곡선 등 불량한 철도 선형을 개량해 운행속도 상향 및 운행 효율성을 높이는 게 목적이다.
사업이 마무리되면 서울 용산에서 전남 여수까지 주행시간이 기존보다 30분가량 단축된 3시간 내 주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사업은 지난해 10월 예타 대상 사업에 선정됐고, 지난달 타당성 검증 작업이 시작된 것으로 파악됐다.
전북도 관계자는 “호남지역 교통 편의 개선을 위해 전라선 고속화 사업 예타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