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8/SSI_20250128133755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8/SSI_20250128134139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8/SSI_20250128134207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8/SSI_20250128093510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8/SSI_20250128102024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8/SSI_20250128093524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8/SSI_20250128093548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8/SSI_20250128093607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8/SSI_20250128093620_O2.jpg.webp)
설을 하루 앞둔 28일 새벽에도 폭설이 이어져 전국이 눈으로 덮였다.
기온까지 뚝 떨어지며 내린 눈이 그대로 얼고 있다.
이날 오전 8시 현재 중부지방과 호남, 경북내륙, 경남북서내륙, 제주 등 대설특보가 내려진 지역을 중심으로 시간당 1∼3㎝씩 눈이 쏟아지고 있다. 일부 지역엔 시간당 5㎝ 안팎으로 눈이 퍼붓고 있다.
제주 한라산은 현재 쌓인 눈의 높이가 120㎝로 어린아이 키를 훌쩍 넘어섰다.
삼각봉과 사제비 적설은 각각 127.2㎝와 122.1㎝이다.
전북 무주군 설천봉엔 84.9㎝, 강원 고성군 향로봉엔 46.8㎝ 눈이 쌓였다.
강원 홍천군 구룡령 현재 적설은 40.7㎝, 충북 진천군(광혜원면)은 35.5㎝, 강원 횡성군(안흥면)은 34.7㎝, 경북 봉화군은 30.9㎝, 충남 계룡시 계룡산은 29.1㎝ 등이다.
또 경기 이천 20.6㎝, 충북 충주 14.5㎝, 강원 원주와 철원엔 각각 13.4㎝와 12.5㎝, 대전 10.7㎝ 등 산지가 아닌 지역에도 10㎝ 넘는 눈이 쌓였다.
서울은 종로구 송월동 서울기상관측소 기준 적설이 2.5㎝이다.
다만 관악구(신림동)는 적설이 13.8㎝에 달한다.
눈은 전국적으로(제주는 눈 또는 비) 계속 이어지겠다.
다만 영남은 지금부터 밤까지, 수도권과 강원내륙·산지는 늦은 오후부터 밤까지 강수가 소강상태에 들겠다.
경기남서부, 강원내륙·산지, 충청, 호남, 경북서부·북동내륙, 경남서부내륙, 제주는 설인 29일 오후까지 눈(제주는 눈 또는 비)이 내렸다가 그치길 반복하며 이어질 전망이다.
29일까지 더 내릴 눈의 양은 대전·세종·충남·광주·전남·전북·제주산지 5∼15㎝(충남권과 전북 최대 20㎝ 이상), 충북 5∼10㎝(최대 15㎝ 이상), 경기남부·강원내륙·강원산지·경남서부내륙 3∼10㎝(경기남부와 강원남부내륙 최대 15㎝ 이상)일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과 인천·전남남부·경북서부·경북북동내륙·경북북동산지·울릉도·독도·제주중산간에는 3∼8㎝(경북북동내륙과 경북북동산지 최대 10㎝ 이상), 경기북부·서해5도·제주해안엔 1∼5㎝, 강원동해안·대구·경북동해안·경북중부내륙엔 1㎝ 안팎의 눈이 더 쌓이겠다.
호남과 경남서부내륙에 이날 오전까지, 경기남부·강원내륙·강원산지·경북내륙·경북북동산지에 오후까지, 충북에 밤까지 시간당 1∼3㎝, 최대 5㎝ 안팎의 폭설이 내릴 때가 있겠다.
호남엔 이날 밤부터 설 오전까지 다시 폭설이 쏟아질 때가 있겠다.
제주와 충청은 각각 29일 오전과 오후까지 폭설이 이어질 전망이다.
‘영하의 강추위’가 닥치면서 쌓인 눈이 녹지 않고 얼겠다.
이날 아침 기온은 전날보다 4∼8도 떨어진 영하 10도에서 0도 사이였다.
낮 최고기온도 영하 5도에서 영상 6도 사이에 머물겠다.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은 낮에도 영하권을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기온은 설날 더 떨어지겠다.
29일 아침 최저기온은 영하 14도에서 영하 1도 사이, 낮 최고기온은 영하 5도에서 영상 6도 사이일 것으로 예상된다. 중부지방과 경북북동산지 아침 기온이 영하 12도 밑으로 내려가며 한파특보가 발령될 수 있다.
전국에 부는 순간풍속 시속 55㎞(15㎧) 내외 강풍은 체감온도를 크게 낮추겠다.
서울의 경우 이날 낮 기온은 영하 2도, 체감온도는 영하 7도겠다.
서울과 인천, 경기서부, 강원동해안·산지, 서해안, 전남해안, 제주는 29일(강원동해안·산지는 30일)까지 다른 지역보다 더 거세게 바람이 불겠다. 이 지역들엔 강풍특보가 발령된 상태다. 경상해안과 경북북동산지에도 28일 새벽 강풍특보가 내려질 가능성이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