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8/SSI_20250128173831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8/SSI_20250128173812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8/SSI_20250128173948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8/SSI_20250128174003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8/SSI_20250128174026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8/SSI_20250128174124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8/SSI_20250128174209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8/SSI_20250128174349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8/SSI_20250128174504_O2.jpg.webp)
28일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강원과 경북, 전라권에 많은 눈이 내리면서 항공기와 여객선 운행이 큰 차질을 빚었다.
최근 24시간 동안 내린 지역별 적설량을 보면 충북 진천이 36.5㎝로 가장 많다. 전북 무주(27.2㎝), 경북 봉화(25.2㎝), 충남 당진(24.6㎝), 강원 고성(20.9㎝) 등에도 폭설이 쏟아졌다. 서울은 오전에 눈이 계속 오면서 11.6㎝의 눈이 쌓였다.
중대본은 적설량이 많은 충남 당진·아산과 충북 음성·제천의 피해 상황을 확인하고 안전관리에 나설 것을 해당 지방자치단체 등에 지시했다.
대설에 따른 통제 현황을 보면 항공기 111편이 결항했다. 인천공항 68편, 김포 5편, 김해 7편, 제주 16편, 청주 11편 등이다.
여객선도 여수∼거문도, 인천∼백령도 등 73개 항로·96척의 운항이 차질을 빚었다.
국립공원의 경우 북한산·무등산·지리산 등 20개 공원·527개 구간의 출입이 통제됐다.
지방도는 제주·전남 각 5곳, 충남 4곳, 경북·경남 각 3곳 등 24곳에서 차량 운행이 중단됐다.
소방당국은 전날 6시부터 이날 오전 9시까지 구조·구급 63건, 안전조치 69건 등 132건의 소방 활동을 벌였다.
다행히 폭설에 따른 큰 피해는 나지 않았다. 충남 당진에서 축사 한 동의 지붕이 붕괴됐으나 인명·가축 피해는 없었다. 충북 진천과 전북 임실에서 각 1세대가 피해를 우려해 임시 주거시설 등으로 이동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