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I_20250205155520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I_20250205155643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I_20250205155436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I_20250205155458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I_20250205155541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I_20250205155600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I_20250205155622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I_20250205155705_O2.jpg.webp)
장노년층 맞춤형 디지털 복합공간인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가 본격 운영을 시작한 지 1년 만에 총 8만여명의 어르신이 방문했다고 서울시가 5일 밝혔다.
지난해 2월 공식 운영을 시작한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서북센터(은평)와 서남센터(영등포) 2개소의 이용객 연령 비율은 70대 46%, 60대 34% 등으로 60대 이상이 대다수였다.
성별로는 여성 비율이 67%로 남성의 2배였다.
이곳에서 제공하는 200여개 교육 과정에는 연간 총 2만7천여명이 참여했다.
과목 중에서는 스마트폰 기초, 생활밀착형 애플리케이션 활용하기, 사진 편집으로 동영상 만들기, 앱테크(휴대전화로 용돈 벌기) 등이 인기를 끌었다.
디지털동행플라자는 교육뿐 아니라 어르신들의 다양한 체험과 커뮤니티 활동이 가능한 공간으로 구성됐다. 그 결과 재방문율 78%, 이용자 만족도 95점 등 방문자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
체험 프로그램별 선호도 조사 결과를 보면 로봇 바리스타가 27%로 가장 높고 스크린 파크골프(19%), 해피테이블(19%), 키오스크 체험(12%), 로봇 바둑(8%) 등이 뒤를 이었다.
시는 서북·서남센터의 성공적인 운영 성과에 힘입어 올해 디지털동행플라자 3개소를 추가로 조성해 디지털 격차 해소에 속도를 낸다.
현재 자치구를 대상으로 추가 조성지를 공모 중이며, 이달 중 최종 선정 후 10월 개관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