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 대형병원 전공의실 앞 복도에 한 의료 관계자가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전국 수련병원의 전공의 확보율이 10%에도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수련병원들은 이달 중 전공의를 추가 모집할 예정이지만, 정부가 제시한 입영·수련 특례의 전공의 유인 효과가 크지 않아 전공의 없는 병원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명옥 국민의힘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전문과목별 전공의 현황’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전공의 현원은 1318명으로, 임용대상자(지난해 3월 기준 1만3531명)의 9.7%에 불과했다. 레지던트(1217명) 확보율은 임용대상자(1만 463명) 대비 11.6%로 그나마 10%를 넘겼지만, 인턴 현원은 101명으로 임용대상자(3068명)의 3.3%에 그쳤다. 다만 인턴 현원은 의사 국가시험 합격자 대상 모집 결과만 반영된 수치여서 발표 예정인 사직 인턴 대상 모집 결과를 포함하면 더 늘 수 있다.
전공의 확보율이 낮은 하위 5개 전문과목은 영상의학과(5.7%), 산부인과(5.9%), 재활의학과(5.9%), 마취통증의학과(6.2%)), 피부과(7.1%)였다. 반면 예방의학과(93.3%), 가정의학과(35.4%), 병리과(33.6%), 핵의학과 (30.4%), 작업환경의학과(21.1%), 정신건강의학과(19.1%), 방사선종양학과(18.3%) 등은 비교적 확보율이 높았다.
정부도 큰 기대는 하지 않는 분위기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특례가 정말 마지막이지만, 전공의들 사이에선 또 한 번의 특례가 있을 거라 여기는 분위기”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올해 상반기 모집에 지원한 전공의만 수련을 모두 마치고 병역 의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입영을 연기해줬으며, 사직한 전공의가 동일 과목·동일 연차로 복귀할 수 있도록 했다. 원래 규정대로라면 사직 전공의는 사직(지난해 6월 사직 처리) 후 1년 이내에 동일 과목·연차로 돌아올 수 없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