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을 유발하는 가구공장 및 건설현장의 폐목재를 섬유 염색업체의 보일러 연료로 팔아넘긴 폐기물 수집 업자와 염색업체 관계자 등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섬유 염색업체에서 보관하고 있다 적발된 가구공장 폐목재.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 제공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은 12일 폐기물관리법 위반혐의로 폐기물 수집·판매업자 이모(50)씨를 불구속 입건하고 섬유 염색업체 관계자 28명을 같은 혐의로 입건, 조사 중이다.
이씨는 2009년 10월부터 지난 1월까지 수도권 일대 가구공장 16곳과 건설현장 수백곳에서 폐목재 6만 1700여t을 수집한 뒤 경기도 연천과 양주의 섬유염색업체 28곳에 보일러 연료로 팔아 24억 3000만원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가구공장 폐목재는 접착제를 함유해 소각 시 암을 유발하는 염화수소, 포름알데히드를 비롯해 대기오염의 주범인 미세먼지, 황산화물 등을 배출한다. 건설현장 폐목재도 시멘트 등이 묻어 있어 연료로 사용할 수 없도록 폐기물관리법은 규정하고 있다.
경기도특사경은 이씨가 가구공장으로부터 폐목재 처리 비용을 받은 뒤 섬유 염색업체에 팔아 이중으로 돈을 챙겼으며 섬유 염색업체의 경우 폐목재가 원목의 3분의 1 가격이라 불법구매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박성남 도 특사경 단장은 “이번 단속은 폐기물 수집 판매업자를 적발, 처벌함으로써 폐기물 배출업체와 소각업체의 연결고리를 차단하고 이들의 적법한 배출과 소각을 유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 제공
섬유 염색업체에서 보관하고 있다 적발된 가구공장 폐목재.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 제공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 제공
이씨는 2009년 10월부터 지난 1월까지 수도권 일대 가구공장 16곳과 건설현장 수백곳에서 폐목재 6만 1700여t을 수집한 뒤 경기도 연천과 양주의 섬유염색업체 28곳에 보일러 연료로 팔아 24억 3000만원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가구공장 폐목재는 접착제를 함유해 소각 시 암을 유발하는 염화수소, 포름알데히드를 비롯해 대기오염의 주범인 미세먼지, 황산화물 등을 배출한다. 건설현장 폐목재도 시멘트 등이 묻어 있어 연료로 사용할 수 없도록 폐기물관리법은 규정하고 있다.
경기도특사경은 이씨가 가구공장으로부터 폐목재 처리 비용을 받은 뒤 섬유 염색업체에 팔아 이중으로 돈을 챙겼으며 섬유 염색업체의 경우 폐목재가 원목의 3분의 1 가격이라 불법구매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박성남 도 특사경 단장은 “이번 단속은 폐기물 수집 판매업자를 적발, 처벌함으로써 폐기물 배출업체와 소각업체의 연결고리를 차단하고 이들의 적법한 배출과 소각을 유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