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 “교외인사 선출은 부적합”
법인 체제 전환 이후 첫 간선제 총장을 선출하는 과정에서 극심한 홍역을 치른 서울대가 법인 이사장 선출을 앞두고 뒤숭숭하다.2011년 법인 출범 당시에는 총장이 초대 이사장을 겸했지만, 이번에는 총장 선출과 별도로 이사장을 선임하는 것이어서 누가 차기 이사장이 될지 관심이 쏠린다.
27일 서울대에 따르면 서울대 이사회는 28일 새 이사장을 선출할 예정이다. 차기 이사장은 총장 임기 시작 후 첫 이사회에서 15명 이사가 호선으로 정한다. 유력 후보로는 성낙인 신임 총장과 오연천 전 이사장을 대신해 직무를 대행하는 박용현 두산연강재단 이사장, 정운찬 전 국무총리, 박명규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서지문 고려대 명예교수 등이 꼽힌다.
이번에도 총장이 이사장을 겸임하면 관례로 굳어질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총장과 이사장은 각각 대학의 대외 활동과 운영을 담당하며 견제와 협력을 동시에 해야 하는데, 겸임하게 되면 균형이 깨질 우려가 있다. 성 총장을 선출할 때처럼 교수사회가 내홍에 시달릴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학교 외의 인사가 이사장이 되는 상황을 우려한다. 한 교수는 “현 이사진 가운데 관료나 기업인은 적합하지 않다”고 말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4-07-28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