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2/SSI_20250122163241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2/SSI_20250122163331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2/SSI_20250122163317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2/SSI_20250122163348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2/SSI_20250122163301_O2.jpg.webp)
절기상 대한(大寒)인 지난 20일 추위 대신 밀려온 미세먼지가 사흘째인 22일에도 빠져나가지 않고 있다.
전국 초미세먼지(PM2.5) 일평균 농도는 지난 15일 12㎍/㎥에서 17일 27㎍/㎥로 오른 뒤 19일까지 20㎍/㎥대를 유지하다가 20일 47㎍/㎥로 치솟았다.
22일은 오전 11시까지 일평균 농도가 65㎍/㎥에 달했다.
19일까지는 우리나라가 고기압 영향권에 들어 대기가 확산하지 못하면서 국내에서 발생한 미세먼지 축적이 높은 미세먼지 농도의 주원인이었고, 20일부터는 서풍에 국외 미세먼지가 유입되면서 농도를 치솟게 한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동아시아 전체적으로 대기가 ‘안정한’ 상태다
고기압권 내에서는 하강기류가 우세하다. 하층 공기가 상층으로 올라 확산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통 이를 대기가 ‘안정한 상태’ 또는 ‘정체한 상태’로 표현한다.
대기가 정체하면 미세먼지도 빠져나가지 못한다. 지상에 바람이 불지 않는 것과는 다른 차원의 문제다.
고기압권에 놓이면 날이 맑고, 낮 동안 햇볕이 잘 내리쫴 기온이 오른다.
특히 고기압이 우리나라 남쪽 편에 자리하면 상대적으로 온난한 서풍이 불면서 기온이 더 상승한다.
‘삼한사온’도 겨울철 대륙고기압이 이동성고기압으로 변질해 우리나라 남쪽을 지나면서 우리나라로 부는 북풍이 서풍으로 바뀌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겨울철 서풍에는 미세먼지가 실렸을 때가 많다는 점에서 삼한사온을 ‘삼한사미’(사흘간 춥고 나흘은 미세먼지가 짙은 현상)로 바꿔 부른 것도 나름의 과학적 근거는 있는 셈이다.
최근에도 미세먼지 농도와 기온이 같은 추세로 움직였다.
전국 일평균 기온을 보면 최근 일주일 사이 초미세먼지 일평균 농도가 가장 낮았던 15일(12㎍/㎥)에 일평균 기온도 최저(영하 1.6도)였다. 이후 초미세먼지 농도와 기온 모두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사진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수준을 보인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경복궁에서 마스크를 착용한 외국인 관광객이 기념 촬영하고 있는 모습.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