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 등 규칙적 운동·정해진 시간에 약 먹기·새로운 배움에 도전
파킨슨병은 운동장애가 특성이지만 모든 증상이 운동장애 형태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병을 조기에 발견해 효과적으로 치료를 받게 하려면 운동증상과 함께 비운동증상을 숙지해 둘 필요가 있다.파킨슨병의 운동증상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유형은 신체 부위를 떤다는 점이다. 가만히 앉아있거나 걸을 때 손발을 떠는 증상이 여기에 해당된다. 더러는 턱을 떨거나 침을 흘리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손의 움직임이 둔해져 세밀한 운동을 못하게 되고, 글씨를 작게 쓰는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환자의 보행 패턴도 바뀌어 서있는 자세가 구부정해지고, 다른 사람과 같이 걸을 때면 확연히 속도가 늦다. 그뿐이 아니다. 걸음이 점차 종종걸음으로 바뀌고, 걸을 때면 신체가 자꾸 앞으로 쏠리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또 앉았다 일어서거나 방향을 돌릴 때 중심을 잘 잡지 못하고, 이 때문에 잘 넘어진다.
비운동 증상도 주의해 살펴야 한다. 일단 병증이 진행되면 주기적으로 대변을 보지 못하게 되고, 냄새에도 둔감해진다. 또 우울증 증상이 나타나는가 하면 자는 동안 잠꼬대나 헛손질 등 이상행동을 하기도 한다.
이런 파킨슨병은 관리도 중요하다. 일단 확진을 거쳐 치료가 시작되면 약을 정확하게 복용해야 한다. 필요하면 식사시간을 조정하더라도 약을 정해진 시간에 복용하는 것이 좋다. 또 복용하는 약제와 상호작용을 일으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아무리 몸에 좋다 하더라도 건강보조식품이나 다른 약제를 사용할 때는 미리 의사와 상의하는 것도 잊어서는 안 된다. 안태범 교수는 운동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안 교수는 “쉽게 할 수 있는 운동을 골라 꾸준히 해야 하며, 무리하기보다 한번 분량의 운동을 여러 차례로 나눠서 하는 것이 좋다”면서 “파킨슨병 환자라도 새로운 배움이나 새로운 사람과 만나는 일을 기피하지 않는 것이 두뇌활동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3-04-2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