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화되면 어떤 부작용?
소아 청소년기에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를 앓았던 환자가 제때 치료받지 못하면 성인이 되어서도 잦은 실수를 저지르거나 단체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몇번씩 사표를 내던지는 사회적 장애를 겪을 수 있다. 성인 ADHD로, 성인이 된 뒤 새롭게 증상이 나타나기보다 어릴적 증상이 이어져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릴 때야 실수를 하고 공격성을 보여도 어느 정도 용인이 가능하지만 성인이 되어서도 과잉행동이 남아 있다면 사회생활 자체가 어려워진다. 성인의 경우 공통적으로 직장 생활에 어려움이 따른다. 어릴 적 ADHD 진단을 받지 못한 성인은 자신이 왜 이런 행동을 하는지조차 모르고 직장이나 단체 생활에서 사사건건 사람들과 부딪치며 사회적으로 고립돼 간다. 충동적으로 결혼하고 이혼하는 등 결혼생활도 순탄치 않다.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충동적인 면은 어느 정도 억제되기도 하지만 주의력 결핍은 쉽게 나아지지 않기 때문에 업무 능력에도 문제가 따른다. 상당수 성인 ADHD환자는 우울증을 함께 앓는다.
ADHD와 동반되는 정신과 문제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질환은 반항장애(40%), 품행장애(14%)다. 이 두 질환은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초기단계로 볼 수 있는 병이다.
2012년 ADHD로 치료받은 환자 6만 3661명 가운데 20세 이상 성인은 2290명(3.6%)에 불과하다. 하지만 정신적 문제를 드러내놓고 상담하기를 꺼려 병원을 찾지 않은 환자를 포함하면 이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의 경우 성인의 4%가 ADHD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부 성인에게는 틱 장애가 동반되기도 한다. 틱 장애는 눈 깜박임, 얼굴 찡그리기, 코 씰룩거리기 등의 행동이나 킁킁거리기, 헛기침하기, 침 뱉는 소리 등을 반복으로 내는 장애를 말한다. “입 닥쳐”, “그만” 등 대화와 상관없는 말을 반복하는 언어적 형태로도 나타난다.
종류도 다양해 외설적인 말이나 욕설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경우도 있다. 주로 7~10세 아동에게 많이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증상이 만성적으로 이어지면 성인에게도 나타난다. 두 장애 모두 사회적 적응에 심한 어려움을 가져오기 때문에 단순한 불안증, 강박증으로 여기지 말고 병원을 찾는 게 좋다.
어릴 때 ADHD를 발견했다면 부모가 나서 자녀와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 긍정적으로 의사소통을 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ADHD 아동의 행동 문제는 부모의 양육 방식이나 대화 방식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연신 특수교사는 “부모는 아이를 먼저 이해하고 목표를 정해 작은 단계에서부터 하나씩 지도한다는 생각으로 일관성 있고 통제력 있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이로 하여금 고치고 싶은 행동과 해야 할 일을 기록하게 하고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는 감정을 통제한 뒤 차분한 목소리로 조언하되 긍정적인 행동을 했을 때는 보상을 해주는 게 도움이 된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4-04-0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