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 위험 ‘후쿠시마 사케’ 25t 국내유통

방사능 위험 ‘후쿠시마 사케’ 25t 국내유통

입력 2014-09-11 00:00
업데이트 2014-09-11 03: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지진 후 올해 7월까지 수입

대형 방사능 유출 사고가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현에서 제조된 사케가 버젓이 한국에서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후쿠시마산 사케는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한 2011년 3월 이후부터 지난 7월까지 총 25t 분량이 수입됐다. 시중에서 많이 판매되는 720㎖짜리 3만 4700여병 규모다. 후쿠시마 인근 7개 현에서 수입된 것까지 합치면 4300여t에 이른다.

정부는 후쿠시마산 쌀의 경우 방사능 오염 위험 때문에 수입을 전면 금지했지만 사케는 쌀과 물이 주원료인데도 가공식품으로 분류해 수입을 허용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목희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동일본 대지진 이후 수입된 후쿠시마산 사케는 2011년 1만 4176㎏, 2012년 6612㎏, 지난해 4073㎏, 올해는 7월까지 576㎏이다. 점차 줄고는 있지만 여전히 많은 양의 후쿠시마산 사케가 수입되고 있다.

식약처는 후쿠시마 지역 가공식품을 수입해도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후쿠시마 인근 13개현은 수출 시 일본 정부가 발행한 방사능 검사증명서 및 생산지 증명서를, 이 외의 34개 현은 생산지 증명서를 제출해야 하고, 이 제품들을 국내에 수입할 때마다 샘플을 뽑아 방사능 정밀검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금까지 세 차례 2t 분량의 사케에서 기준치(100베크렐)에 못 미치는 미량의 세슘이 검출된 것으로 확인돼 안전성을 완벽하게 담보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샘플 표본을 확대해 검사한다면 더 많은 사케에서 세슘이 검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게다가 사케 대부분은 제품 표시가 일본어로 돼 있어 소비자들은 후쿠시마산 여부를 식별하기 어렵다.

이 의원은 “일본의 쌀과 지하수가 방사능에 오염돼 있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라며 “일본 사케의 원재료인 쌀과 지하수의 원산지를 알기는 더 어려워 후쿠시마 이외 지역 사케도 안전하지는 않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사케 외에 수산물가공품, 양념젓갈, 즉석조리식품, 조미건어포류, 복합조미식품, 빙과류, 드레싱 등 후쿠시마산 가공식품을 다량 수입하고 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4-09-11 1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