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 저는 이렇게 성공했어요
식사 후에 피우는 이른바 ‘식후땡’ 담배는 흡연자에게 떨칠 수 없는 유혹이다. 다른 이유가 있는 게 아니다. 유독 ‘식후땡’ 담배가 맛있기 때문이다. 들이마시는 담배 연기에 들어 있는 ‘페릴라르틴’이란 성분이 식후 다량 분비된 침에 녹아 단맛을 내고, 입안의 기름기가 이 맛을 더 잘 느끼게 해주기 때문에 식사 후 피우는 담배가 단 것이다. 담배를 계속 생각나게 하는 성분이 담배에 배합돼 있다 보니 웬만한 금연 결심으로는 담배 끊기가 어렵다. 하지만 고통을 감내하고 자신의 힘으로 담배를 끊은 사람들도 있다. 하루 1갑 이상 피우는 ‘골초’에서 비흡연자로 거듭난 3명의 금연 체험담을 소개한다.

■정대영(가명·46·17년 흡연) 20살에 처음 담배를 피우기 시작해 37살까지 17년간 하루에 1갑씩 담배를 피웠다. 술을 마시면 앉은 자리에서 2~3갑을 핀 적도 있었다. 술과 담배를 함께한 다음날에는 항상 머리가 아팠다. 체중도 키 180㎝에 85㎏까지 나갔다. 안 되겠다 싶어 금연을 결심하고 새벽 5시 30분에 일어나 하루 1시간 운동을 시작했다. 하지만 담배를 바로 끊지는 못했다. 술자리를 가면 어김없이 담배가 생각났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았다. 그렇게 피우고 끊기를 1~2년간 반복하다 보니 어느 순간부터 술에 취해도 담배 생각이 나지 않았다. 스트레스는 운동으로 이겨냈다. 금년 9년째다. 담배 대신 술로 스트레스를 풀다 보니 담배를 또 피우는 악순환에 빠졌던 것 같다. 담배를 끊고 난 다음에는 고지혈증, 지방간이 없어지고 체중도 10㎏이 줄었다.
■배정혜(가명·35·6년 흡연) 대학교를 졸업할 무렵 취업 스트레스 때문에 담배를 배워 6년간 피웠다. 이틀에 1갑 정도로 피운 양은 얼마 안 됐지만 담배를 오래 피우다 보니 목과 머리가 자주 아팠다. 심한 목감기에 걸린 어느 날 담배를 하루 참아보기로 했다. 뜻밖에 담배 생각이 나지 않아 그 다음날도 담배를 피우지 않았다. 때마침 사귄 남자친구도 담배 피우는 것을 싫어해 금연을 결심했다. 처음에는 힘들었지만 금연 석 달 만에 피부트러블이 사라지고 예뻐졌다는 소리를 듣자 자신감이 붙었다. 담배를 끊은 뒤 일어난 긍정적 변화를 정리해가며 담배를 끊어야 할 이유를 하나둘씩 늘려 갔다. 그렇게 6개월이 지나자 담배 생각이 싹 사라졌고, 이후 6년 동안 담배에 손을 대지 않았다.
■김영환(가명·54·30년 흡연) 군대에서 처음 담배를 배워 30년을 피웠다. 때 되면 끊겠지 하며 금연을 계속 미뤘는데, 친구가 암에 걸리는 것을 보고 덜컥 겁이 났다. 처음에는 정말 힘들었다. 혀가 아릴 정도로 은단을 먹었고 니코틴 보조제인 금연 껌도 석 달 이상을 씹어봤다. 하지만 회사에서 스트레스를 받을 때나 회식 자리에서 담배는 정말 참기 어려웠다. 그래서 회식을 할 때는 자주 나가 찬 바람을 쐴 수 있게 문가 자리에 앉고 만취할 정도로 술을 많이 마시지도 않았다. 스트레스는 금연 구역으로 나가 심호흡을 하고 혼자 중얼중얼 욕도 하며 그때그때 풀었다. 입이 심심할 때는 집에서 싸온 당근·오이를 먹었다. 또 금연일기도 써가며 오늘 기분은 어땠는지, 몸 상태는 어떻게 좋아졌는지를 기록했다. 그러다 보니 정말 1년 뒤 시도때도없이 날 괴롭히던 담배 생각이 없어졌다. 4년째 담배를 피우지 않고 있다. 담배 냄새가 난다며 싫어하던 딸도 담배를 대체할 사탕 등을 사다주며 금연을 응원했다. 담배가 사라지자 그 자리에 가족이 들어왔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4-09-22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