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은 이지은·신동욱 가정의학과 교수팀이 의료용 애니메이션 개발업체 헬스브리즈와 함께 금연치료제에 대한 설명을 담은 애니메이션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약물치료는 금연을 돕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의료진이 진료 중 일일이 약물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애니메이션은 약 6분짜리 영상으로 흡연으로 인한 문제와 다양한 금연치료제의 효과, 부작용, 비용, 금연치료제의 중요성 등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연구팀은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와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흡연자 414명 중 195명에게 애니메이션을 보여준 뒤 진료를 받도록 했다. 나머지 219명은 일반 진료만 시행했다.
그 결과 1개월 뒤 금연치료제를 처방받은 비율은 실험군이 11.8%, 6개월 뒤는 17.4%였다. 반면 일반 진료만 시행한 환자는 10.5%와 15.0%로 다시 낮았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신 교수는 “애니메이션은 진료실에서 다 설명하지 못하는 정보를 알기 쉽게 전달하는 등 많은 장점이 있어 환자교육과 치료방법 결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화이자제약의 연구자 주도 연구지원과 의료 애니메이션 컨텐츠 개발업체인 헬스브리즈의 제작지원을 받았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환자 선호와 순응도’ 최신호에 게재됐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