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이용자 5명 중 1명 ‘중독 위험’

스마트폰 이용자 5명 중 1명 ‘중독 위험’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2-13 14:42
업데이트 2019-02-13 14: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과기부 실태조사 결과…과의존 위험군 청소년 줄고 유아·성인 늘어

이미지 확대
아이들이 스마트폰을 하면서 시간을 보내고 있다. 2018.12.10 UPI 연합뉴스
아이들이 스마트폰을 하면서 시간을 보내고 있다. 2018.12.10
UPI 연합뉴스
작년 기준 스마트폰 이용자 약 5명 중 1명이 ‘과의존(중독) 위험군’인 것으로 조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이런 내용의 ‘2018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과의존 고위험군은 일상에서 스마트폰 사용을 우선시하고(현저성), 기기 이용 정도를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스마트폰으로 인해 생활에 장애를 겪는 경우를 뜻한다. 이 중 1∼2가지 증상을 보이는 경우는 잠재적 위험군으로 분류한다.

조사 대상인 만 3∼69세 스마트폰 사용자 중 ‘잠재적 위험군’(16.4%)과 ‘고위험군’(2.7%)을 합한 ‘과의존 위험군’의 비율은 19.1%로, 2016년 17.8%, 2017년 18.6%에 이어 증가세를 보였다.

유아 및 아동 중에서 과의존 위험군의 비율은 2016년 17.9%, 2017년 19.1%, 작년 20.7%로 증가하고 있다. 부모가 과의존 위험군인 경우에 유·아동 자녀가 위험군에 속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60대에서도 과의존 위험군의 비율은 2016년 11.7%, 2017년 12.9%, 작년 14.2%로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청소년 중 위험군 비율은 2015년 31.6%였다가 2016년 30.6%, 2017년 30.3%, 작년 29.3%로 조금씩 줄고 있다.

과의존 위험군이 스마트폰으로 이용하는 콘텐츠는 메신저가 가장 많이 꼽혔다. SNS(사회관계망서비스), 게임, 뉴스 보기 등이 뒤를 이었다.

작년 스마트폰 이용자의 77%는 과의존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절반 이상(52.4%)은 과의존 원인이 개인에게 있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작년 8∼10월 전국의 1만 가구 2만8천575명에 대한 방문면접 조사로 이뤄졌고, 신뢰수준 95%에서 표본오차는 ±0.46%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