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대학농구 최진수 ‘컴백홈’

美대학농구 최진수 ‘컴백홈’

입력 2010-01-06 00:00
수정 2010-01-0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KBL 드래프트 신청… 11일 결정

‘한국농구의 미래’ 최진수(21·메릴랜드대)가 미국생활을 접고 한국으로 복귀한다. 최진수는 한국인 최초로 미국대학스포츠(NCAA) 남자농구 디비전1에서 뛴 장신 포워드(202㎝)로 농구장학생으로 미국유학을 떠난 유일한 선수다. 고등학교 2학년 때 태극마크를 달았을 만큼 일찍이 가능성도 인정받았다.

이미지 확대
최진수
최진수
하지만 학업과 운동을 병행하는 미국생활은 너무 버거웠다. 올 시즌 개막전에서 발목부상을 당해 벤치를 지키는 일이 잦았고, 밥먹을 시간도 없이 학업에 매달렸지만 언어의 장벽은 극복하기 힘들었다. 게다가 지난달 20일 한 과목에서 F학점을 받아 2학기(1월 중순)부터 남은 시즌 전 경기를 뛸 수 없는 상황에 처했다. 경기에 뛸 수 없다 보니 팀 훈련이나 전술에서 소외됐고, 이것이 한국행의 결정적인 이유가 됐다.

최진수는 5일 한국농구연맹(KBL) 전육 총재에게 서신을 보내 “지금 포기하는 것이 너무 부끄럽고 가슴이 아프지만, 미국에서 공부하는 게 너무 힘들었다.”면서 “기회를 달라.”고 호소했다.

최진수가 국가대표팀을 오가며 미국생활에 집중하지 못한 것도 걸림돌로 작용했다. 최진수는 2006도하아시안게임 때 태극마크를 달았다가 개막 직전 하승진(KCC)과 교체됐고, 지난해 톈진아시아선수권을 앞두고도 갑자기 방성윤(SK)에게 자리를 내줬다. 이미 국가대표로 두 번 상처를 받았던 최진수의 국내 복귀를 도와주자는 의견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그렇다면 최진수는 당장 다음 시즌부터 국내무대에서 뛸 수 있을까. 농구협회에 등록되지 않은 최진수는 일반인 드래프트를 거쳐야 하지만, 신청기한(11월13일)을 이미 넘긴 상태.

KT&G에 신인지명권을 내주고 나이젤 딕슨을 품에 안은 KT는 “원칙대로 가야 한다.”며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나머지 구단들은 “국가대표까지 오를 정도로 기량을 갖춘 선수인 데다 피치 못할 사정으로 기한을 넘긴 것이니 특혜가 필요하지 않겠나.”라는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했다. 깜짝 등장한 ‘대어’ 최진수가 2월3일 드래프트에 참여할 수 있을지 11일 이사회로 이목이 집중된다.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2010-01-06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