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선수권 남자부 종합 4위 역대 최악 “평준화 직시하고 리우까지 집중훈련을”
2015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에서 한국 남자 태권도가 종합 4위의 역대 최악의 성적표를 받으면서 2016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 빨간불이 켜졌다. 여자는 금메달 3개를 따내며 종합 우승을 차지해 종주국 자존심을 지켰지만 1점차 승리가 많아 이번 성적이 내년 올림픽까지 이어질 것으로 속단하긴 이르다.한국은 19일 러시아 첼랴빈스크에서 열린 남자 80㎏급 32강전에서 김봉수(한국가스공사)가 이반 카라일로비치(세르비아)에게 8-10으로 패하며 메달 추가에 실패했다. 이로써 남자부는 54㎏급 김태훈(동아대)의 금메달 1개, 68㎏급 신동윤(한국체대)의 동메달 1개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2011년 경주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에서 이란에 우승 자리를 내준 뒤로 남자부가 2위 밖의 성적을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여자부는 49㎏급 하민아(경희대), 53㎏급 임금별(전남체고)에 이어 지난 18일 오혜리가 73㎏급 결승전에서 금메달을 추가하며 금메달 3개를 획득하는 쾌거를 이뤘다. 하지만 53㎏급에서는 적수가 없다는 평가를 받는 임금별을 제외하고는 모두 1점차로 승리하며 고전했다. 또 임금별이 올림픽에서는 57㎏급에 출전해야 하기 때문에 금메달을 장담할 수 없다. 남녀 각각 체급이 8개로 다양한 세계선수권대회와는 달리 올림픽은 4체급밖에 되지 않아 선수들이 체급을 높여야 하는 부담이 따르기 때문이다.김현일 용인대 태권도학과 교수는 남자부의 부진에 대해 “이미 세계 태권도 실력이 상향 평준화돼 있는 상황에서 현실을 직시하지 않고 지나치게 자신감을 가졌던 결과”라고 지적했다. 이어 “올림픽에서는 한 체급 높여서 출전해야 하는데다 한국 선수들보다 체격 조건이 뛰어난 스페인, 영국, 러시아 등의 강팀들과 맞붙어야 하기 때문에 남은 기간 집중적인 웨이트트레이닝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15-05-2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