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명만 바꿨을 뿐인데…

기업명만 바꿨을 뿐인데…

입력 2010-04-03 00:00
수정 2010-04-03 01: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최근 기업명을 바꾼 뒤 매출이 급등하거나 주가가 상승세를 보인 사례가 많아 ‘이름 성형’이 기업 운영에 호재가 될 수 있는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2일 재계에 따르면 애경그룹은 지난해 3월 자사 유통부문을 ‘AK플라자’로 이름을 바꾼 뒤 매출이 크게 늘어 희색이 가득하다. AK플라자의 지난달 매출은 지난해 동기대비 16.5% 증가했다. 변덕스러운 초봄날씨 탓에 고전을 면치 못한 롯데백화점(4.5%)과 현대백화점(4.2%), 신세계백화점(7.2%) 등과 비교해도 괄목할 성과를 거뒀다.

AK플라자는 개명 첫해인 지난해 1조 4100억원의 매출을 올려 2008년 대비 13.7% 성장하며 순항 중이다. 애경그룹 유통부문은 그동안 ‘애경백화점’과 ‘삼성플라자’ 등을 혼용해 쓰다 브랜드 통합 차원에서 ‘AK플라자’로 통합을 단행한 바 있다. AK플라자 측은 “사명을 바꾼 뒤 부유층 고객인 VIP 회원수가 15%나 증가하는 등 새로운 이름이 인지도 상승과 매출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고 자평했다.

어묵으로 잘 알려진 삼호F&G는 ‘CJ 씨푸드’로 사명을 바꿨다는 소식에 일주일 새 주가가 50%나 올랐다. 지난 2006년 이 회사를 인수한 CJ제일제당이 지난달 30일 주주총회를 열어 모 그룹과의 시너지를 높이기 위해 사명을 변경하기로 결정한 덕분이다. 지난달 29일 6.18% 상승을 시작으로 31일과 1일 연이어 상한가를 기록한 데 이어, 2일에도 4.57%나 올라 5거래일 만에 49.8%나 폭등했다.

포스코 계열사인 포스렉 역시 지난 2월16일 회사명을 ‘포스코컴텍’으로 변경한다는 언론 보도 이후 주가가 5% 급등했다. 실제로 사명을 바꾼 직후인 지난달 17일에도 1.17% 또 올랐다. 새 이름이 포스코의 ‘패밀리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각인시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0-04-0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