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넬 여론의식?… 3% 찔끔 인하

샤넬 여론의식?… 3% 찔끔 인하

입력 2011-07-19 00:00
업데이트 2011-07-19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프라다·루이뷔통 등 안 내리기로



한국과 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발효에도 뻣뻣하게 굴던 샤넬을 비롯한 유럽산 고가 브랜드들이 잇따라 가격 인하를 발표하고 나섰다.

이른바 ‘명품’으로 불리는 수입 브랜드들이 국내에서 오히려 가격을 올리는 ‘고가 전략’으로 막대한 수익을 올리면서도 정작 기부활동에 인색하다는 곱지 않은 여론이 높아지고 있음을 의식한 듯하다.

프랑스의 대표적 고가 브랜드 샤넬은 18일 주요 제품의 가격을 인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샤넬 관계자는 “한·EU FTA 발효에 따라 발생하는 관세 철폐분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1일부터 발효된 한·EU FTA는 유럽산 의류(13%)와 구두(13%), 가죽가방(8%)에 부과되던 관세를 즉시 철폐하도록 하고 있다.

이번 인하 방침에 따라 샤넬의 대표적 상품인 클래식 캐비어 미디엄 사이즈는 579만원에서 562만원(3%)으로, 2.55 빈티지 미디엄 사이즈는 639만원에서 620만원(3%)으로 각각 내릴 예정이다. 샤넬은 두달 전 가격을 25% 올려 고가 마케팅이 지나치다는 비난을 받은 바 있다.

주요 제품의 선적지가 스위스와 홍콩 등 EU 외 국가여서 한·EU FTA 발효에 따른 수혜가 없는 루이뷔통이나 구치와 달리 샤넬은 제품의 생산 및 선적지가 모두 EU 국가인 프랑스여서 이번 FTA의 직접적 영향을 받게 돼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에르메스도 한·EU FTA 발효에 따른 관세 철폐분을 반영해 지난 15일부터 주요 제품 가격을 평균 5.6% 인하한 바 있다. 여성·남성 구두 10%, 다이어리 및 소품류 10%, 남성 넥타이 가격을 9.2~9.4% 내렸으며 가죽과 캔버스 제품은 5% 인하했다.

가격 인하 대열에 동참할 것으로 보였던 프라다는 가격을 내릴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프라다 관계자는 “이번 FTA 면세 적용에 따라 한국 지사에서 가격 인하에 대한 서류를 제출한 상황”이라며 “시간은 조금 걸리겠지만 전 품목을 대상으로 가격 할인율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서울 시내 유명 백화점에 확인해 본 결과, 프라다를 비롯해 루이뷔통, 미우미우, 펜디 등 브랜드의 국내 정식 유통 제품은 관세철폐 혜택이 없는 홍콩 선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유통업체 관계자는 “프라다 매장에 문의해 본 결과, 가격 인하 방침에 대해 듣지 못했다.” 고 전했다.

지난 2월과 6월 두 차례 가격을 올렸던 루이뷔통 측은 여전히 가격을 내릴 방침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2011-07-19 2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