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end inside-불황 탈출, 패션이 답이다] 동대문 출신 유지은 위드베이스 대표

[Weekend inside-불황 탈출, 패션이 답이다] 동대문 출신 유지은 위드베이스 대표

입력 2012-12-15 00:00
수정 2012-12-15 01: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3㎡로 의류업 첫발 디자인서 생산까지 멀티형

15년 전 외환위기 여파로 아버지 사업은 부도가 났다. 살길이 막막해졌지만 지방대 졸업장으로는 취직이 쉽지 않았다. 동대문 의류사업에 뛰어든 건 생계유지 때문이었다. 액세서리 매장 판매직원으로 들어갔다. 월급은 80만원. 가족 부양비로는 턱없이 부족했다. 6개월간 열심히 일했다. 시장의 사업구조가 조금씩 눈에 들어왔다. 사업계획서를 들고 친척을 찾았다. “시집갈 돈 좀 미리 주세요.” 그렇게 손에 쥔 3700만원으로 동대문 시장에 3.3㎡짜리 첫 매장을 열었다. 당시 24살 앳된 여 사장은 30대 중반에 신세계백화점에 전국적으로 5개 단독 의류 매장을 운영하며 직원 수 70명, 백화점에서만 연간 50억원 이상 매출을 올리는 ‘위드베이스(withBASE)’ 디자이너 브랜드 대표가 됐다. 그가 유지은(38)씨다.

이미지 확대
14일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에서 동대문 출신 디자이너 겸 ‘위드베이스’ 대표인 유지은(오른쪽)씨가 바이어와 제품에 대해 얘기를 나누고 있다. 위드베이스·신세계 제공
14일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에서 동대문 출신 디자이너 겸 ‘위드베이스’ 대표인 유지은(오른쪽)씨가 바이어와 제품에 대해 얘기를 나누고 있다.
위드베이스·신세계 제공
유 대표는 동대문에서 ‘더베이스’란 이름으로 수출도 하며 제법 잘 나갔다. 제품 디자인에서 생산까지 전 과정을 다룰 줄 아는 데다 디자이너 브랜드인 데도 가격이 저렴하고 너무 튀지 않는 유행에 맞는 옷들을 일주일에 20~30개 정도 내놓는 등 제품 순환도 빨랐다.

이를 눈여겨 본 신세계 바이어의 권유로 2009년 신세계백화점 자체 브랜드 기획전에 참여했다. 그해 8월 말 편집매장에 입점된 유 대표 제품은 기획전에 참여한 8개 업체 가운데 전체 매장 매출의 80%를 내면서 경쟁력을 입증받았고 지난해 단독 매장을 열었다. 위드베이스는 20~30대 여성층을 겨냥한 여성 토털패션으로 화려한 색감이 특징이다.

백화점 입점까지 쉽지 않은 길이었다. 제품 기획에서 디자인, 판매와 경영까지 혼자 도맡다 보니 사업 초기 4년 동안 3시간 이상 자본 적이 없다고 유 대표는 회상했다. 그는 “하루에 20시간씩 일했어요. 원단을 직접 사서 디자인해 재단·생산 공장에 가면 어린 여자라고 무시하고 업계를 잘 몰라 비싸게 단가를 지급하는 등 사기도 많이 당했어요.”라고 털어놨다. 브랜드 홍보를 위해 2009년부터 백화점 내 팝업스토어를 하며 한 달에 12차례나 매장을 열었다 없애며 불철주야 일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단단해졌다. 유 대표는 대기업 계열사나 유수 브랜드들과 경쟁도 두렵지 않다고 했다. 동대문에서 수없이 경험했던 고객과 소통이 좋은 무기가 됐다. 그는 “대형 패션업체들과 달리 고객 반응을 즉각 디자인에 반영해 곧바로 생산할 수 있는 신속성이 최대 강점”이라고 강조했다. 유 대표는 “제일모직, LG패션 등과 같이 브랜드 자체의 신임도는 없지만 그 이상 질 높은 제품으로 가격 거품을 없애고 디자인으로 고객들에 다가설 것”이라고 말했다.

강주리기자 jurik@seoul.co.kr

2012-12-1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