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망치보다 0.2%P 이상 낮아 “내수 부진·수출 둔화로 성장 약화”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우리나라의 내년 경제성장률을 2.4%로 내다봤다. 내수 부진에 더해 수출마저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2012년(2.3%) 이후 최저치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다.한경연은 17일 발표한 ‘4분기 경제동향과 전망’ 보고서에서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4%로 제시했다. 이는 같은 날 정부가 발표한 전망치(2.6~2.7%)를 비롯해 한국은행(2.7%), 국제통화기금(2.6%), 경제협력개발기구(2.8%) 중 가장 낮은 것이다.
한경연은 소비와 투자 등 극심한 내수 부진에 수출 증가세마저 둔화되면서 국내 성장 흐름의 약화를 가져올 것으로 내다봤다. 설비투자(-2.0%)와 건설투자(-4.5%)가 위축되는 데 더해 올해 경제성장을 견인해 왔던 수출 증가율도 올해(7.9%)보다 줄어든 3.6%에 그칠 것이라고 예측했다. 미국을 제외한 주요 수출 상대국들의 성장률 둔화와 미·중 무역갈등의 장기화, 반도체 단가 하락세 등 교역 조건의 악화가 중요한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민간 소비는 소비심리 악화와 가계부채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 자산가격 하락, 고용 부진으로 인한 취업자 수 급감 등의 요인으로 올해보다 0.3% 포인트 줄어든 2.4% 성장하는 데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그 밖에 한경연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해 1.5%와 유사한 1.6%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건비가 큰 폭으로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성장세 둔화로 인한 낮은 수요압력, 서비스 업황 부진, 가계부채·고령화 등의 구조적 원인이 물가상승에 대한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8-12-18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