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의, 2000대 기업 10년 변화 분석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C_20250205173938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C_20250205173938_O2.jpg.webp)
지난 10년간 중국 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가 11.5배 급증하며 세계 R&D 투자의 축이 미중 양강 중심으로 재편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기업의 R&D 투자는 2.2배 늘어나는 데 그쳐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진단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유럽연합(EU) 공동연구센터가 지난 12월 발표한 ‘2024년 R&D 투자 스코어보드’의 2000대 기업 명단을 분석한 결과 이러한 추세가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지난 10년간 R&D 투자 상위 2000대 기업을 국가별로 보면 중국의 압도적인 성장세가 눈에 띄었다. 중국은 2013년 기업 수에서 119곳으로 4위, 투자액은 188억 유로(약 28조 2500억원)로 8위였지만, 2023년엔 기업 수 524곳으로 2위에 올랐고, 투자액도 2158억 유로(324조 3800억원)로 무려 11.5배 급증했다. 대한상의는 “상위 10개국 중 10년간 기업 수와 투자액이 계속 증가한 국가는 중국이 유일했다”고 밝혔다.
미국의 경우 기업 수는 668개에서 681개로 10년간 13개 늘었고, 투자액에선 2013년 1910억 유로(287조 2800억원)에서 2023년 5319억 유로(800조원)로 2.8배 증가했다. 기업 수, 투자액 전부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켰지만 중국과 비교해 상승세는 주춤했다.
중국의 급성장으로 글로벌 R&D 투자에서 ‘G2 독주 체제’는 뚜렷해졌다. 2023년 기준 세계 R&D 투자 상위 2000대 기업 가운데 미국과 중국의 합산 기업 수는 1205개로 60.3%, 합산 투자액은 총 7477억 유로(1124조 3800억원)로 전체 투자액의 59.5%를 차지했다. 자연스레 2013년 기업 수와 투자액에서 2위를 기록하던 일본을 비롯해 독일, 영국 등 기존 주요국의 비중은 감소했다.
한국은 최근 10년간 R&D 투자액이 193억 유로(29조원)에서 425억 유로(63조 9000억원)로 2.2배 증가했고, 2000대 기업에 포함된 기업은 54곳에서 40곳으로 줄었음에도 8위를 유지했다. 삼성전자의 R&D 투자액은 199억 유로(29조 9000억원)로 반도체 기업 중 1위였으며, R&D 투자액은 10년간 2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기순 성균관대 중국대학원 교수는 “중국은 기업에 대규모 투자 자금 및 각종 세금 감면을 지원하고 있다”며 “정부도 미래 기술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산업정책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2025-02-0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