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망중한/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망중한/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6-12-04 22:14
수정 2016-12-04 22: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인의 집에 못 보던 그림이 걸렸다. 지난여름 여행길에 여비를 털어 샀다는 유화 한 점을 맞춤 액자에 곱게 모신 거다. 지구 반 바퀴를 돌아온 이국의 풍경 한 점, 멋쩍게 돋는 화취(?趣).

여행다운 여행을 못 해 보고 가을을 또 보냈다. 산악 단풍의 절정을 사람들은 때맞춰 잘도 누렸는데, 도무지 그런 재주가 내게 없다. 남녘의 늦단풍이라도 훑고 와야지 벼르다 그마저 놓쳤다. 바빴다는 핑계로 게으름을 속일밖에.

바뀌는 계절을 줄어드는 잔양(殘陽)으로 알아챈다. 늦은 오후 잎차 한 주전자를 끓여서는 마루의 빈 벽을 마주 보고 그저 앉아 있기. 이즈음 내 즐거움이다. 화분의 벤자민이 우죽삐죽 자란 그대로 마룻바닥에 그림자로 어룽거린다. 그림자는 빛이 기우는 대로 한참을 벽을 타고 오른다. 빈 벽에다 나무 잔뼈까지 정물화로 펼쳐 놓는 태양의 이력, 조용히 머리를 비우는 시간.

천 년 전 시인은 “일 없이 고요히 앉았으면 하루가 그대로 이틀”이라 했는데. 그렇게 칠십 년을 살면 백사십 년을 사는 거라고. 마음의 여유를 챙기면 인생이 수지맞다는 오래된 가르침이 빈 벽 앞에서 들린다. 비싼 그림으로 사치 부린 벽보다 빈 벽이 나는 좋기만 하다.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2016-12-0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