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길 위의 안부/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길 위의 안부/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9-04-30 22:32
수정 2019-05-01 01: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체국 담벼락에는 사시사철 좌판이 열렸다. 구죽죽 비가 와도 우산을 쓰고, 땡볕이 정수리를 지져도 우산을 쓰고, 별안간 눈발이 날려도 우산을 쓰고. 두어 평 할머니의 노점은 세상의 푸성귀를 다 끌어안았다. 양지바른 어느 언덕에서 원추리를 데려왔나 하면 봄이었고, 펄펄해서 당장에 밭으로 걸어갈 것 같은 호박잎 묶음에 여름은 깊었으며, 햇볕에 노릇노릇 구슬려진 무청 시래기가 함지에 그득하면 가을이 지나갔다.

주말 아침 부지런을 떨면 ‘텃밭 직송 한정판’ 풋것들을 푸지게 들여오고는 했다. 꼬부라져 못생겼어도 단물이 일품인 토종 가지며, 집안에 들이면 노란 단꿈을 꾸게 생긴 늙은 호박이며.

밥상의 쪽파김치에 쪽파를 만지던 손마디가 생각이 났다. 이즈막 쪽파뿌리를 장미 다발보다 귀하게 다듬던 손. 해마다 늙었어도 조금도 낡지 않았던 그 손끝이 이 봄에는 보이지 않는다. 붙박이 좌판에서 생각나는 것은 짧아졌다 길어졌다 앉은뱅이 그림자 하나. 다 말로 물어볼 수 없어 다 말로 대답을 들을 수 없는 일이 세상에는 이렇게 많은 것을.

누군가의 한 시절이 떠나 돌아오지 않는 자리. 왕벚나무 아래 빈자리로 우물쭈물 서성거리는 저녁. 꽃보다 사람이 그리워지는 봄 나무 아래.

sjh@seoul.co.kr
2019-05-01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