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숭이떼 등장에 집 안으로 숨은 이웃들…도움 부재
![인도 원숭이. 픽사베이 자료사진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07/SSC_20230307170652_O2.jpg)
![인도 원숭이. 픽사베이 자료사진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07/SSC_20230307170652.jpg)
인도 원숭이. 픽사베이 자료사진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지난 3일 카마레디 지역 마을 라마레디에서 소란이 일었다. 딸이 외출한 사이 홀로 있던 70세 여성 차타라보이나 나르사바 집에 원숭이떼가 들이닥친 것이다.
20마리가 넘는 원숭이들은 노인에게 떼로 달려들었다. 노인은 허둥지둥 몸을 피했지만 포악한 원숭이떼 공격에서 살아남지 못했다.
보도에 따르면 노인은 머리와 가슴, 등과 팔, 다리 등 전신 곳곳에 심각한 부상을 입고 쓰러진 채 발견됐다. 급히 병원으로 옮겼지만 다음날 치료 중 끝내 숨을 거뒀다.
현지경찰은 “목격자 탐문 결과 원숭이떼 습격 당시 노인이 이리저리 도망다닌 걸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노인의 시신을 부검한 검시관은 대피 과정에서 미끄러진 노인이 콘크리트 바닥에 머리를 부딪힌 것이 결정적 사망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부검 직후 유족은 노인의 시신을 화장했으며, 경찰은 노인을 공격한 원숭이떼 확인에 나서는 등 추가 조사를 벌이고 있다.
사건 이후 현지에서는 노인의 이웃들 대처에 대한 공분도 일었다. 보도에 따르면 이웃들은 집으로 들어가 노인을 공격한 원숭이떼가 사라질 때까지 나오지 않은 걸로 알려졌다.
![인도 원숭이. 픽사베이 자료사진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07/SSC_20230307170653_O2.jpg)
![인도 원숭이. 픽사베이 자료사진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07/SSC_20230307170653.jpg)
인도 원숭이. 픽사베이 자료사진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지난해 2월 우타르프라데시주 바레일시 한 마을에서는 원숭이떼에 온몸을 물어뜯긴 5살 소녀가 과다출혈로 사망했다.
2021년 10월 뉴델리에서는 행인 한 명이 원숭이가 던진 벽돌에 맞아 숨진 일이 있었다. 같은해 9월 우타르프라데시주의 한 국회의원 부인은 원숭이 습격을 피해 도망치다 추락사했다.
2020년 우타르프라데시주 샤자한푸르시 가정집에선 더운 날씨에 마당에 이불을 깔고 자던 일가족 5명이 원숭이떼 습격으로 무너진 담벼락에 깔려 그 자리에서 사망했다. 2019년에는 생후 한 달 된 영아가 젖병을 훔치려고 달려든 원숭이에게 물려 죽었다.
전문가들은 인도 경제발전과 함께 주택 수요가 폭증하면서 원숭이 서식지가 파괴됐고, 이 때문에 난폭해진 원숭이가 사람을 공격하는 일이 잦아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주민 대부분이 힌두교 신자인 탓에 하누만(원숭이신)의 화신인 원숭이에게 먹이를 주는 등 살뜰하게 보살피고 있어 적극적 대처가 어려운 상황이다. 주민들이 원숭이 도살에 반대하는 것 역시 관리 당국에는 걸림돌이다.
2000년대 초반 인도 정부가 덩치가 크고 사나운 랑구르원숭이를 길들여 동원하기도 했으나 별다른 효과는 거두지 못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