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외교부장 양회 회견 안팎
짜여진 각본대로 문답 도중 로이터 질문에 北 일단 비판 뒤 “양측, 동시 브레이크 걸어야”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이 8일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사드 배치를 둘러싼 중국의 반대 입장을 다시 한번 피력했다.
왕 부장의 언급은 한국 매체가 ‘한·중 수교 25주년을 맞아 양국 관계를 전망해 달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나왔다. 외교부장의 양회 기자회견은 대체로 ‘각본’에 맞춰 진행된다. 중국 외교부가 선택한 매체에 질문권이 주어지고, 질문 내용에도 중국 외교부가 ‘영향’을 끼친다. ‘사드 보복’과 같은 단어는 애초부터 나오기 어려운 구조다.
왕 부장은 일단 ‘한·중 수교 25주년’이라는 밋밋한 질문으로 ‘사드 보복’과 같은 민감한 표현을 피했다. “올해는 한·중 수교 25주년으로 매우 중요한 해”라며 “그동안 양국 국민의 노력으로 얻은 성과를 매우 소중히 생각하고 있고, 한국과 상호 이익이 되는 협력 국면을 지켜 나가길 원한다”고 말했다. 그러고는 하고 싶은 얘기를 이어 갔다. “사드가 중국의 안보와 전략을 위협한다는 것은 길 가는 사람 누구에게 물어봐도 다 아는 사실”이라면서 “한국이 더욱 불안전한 처지에 놓이게 됐다”고 주장했다. 왕 부장은 특히 “한국의 일부 세력이 자기들 하고 싶은 대로 자신의 길을 가지 말기를 권한다”고 말해 사드 배치를 서두르는 현 정부를 집중 겨냥했다. 한국에 대한 경고도 잊지 않았다. 왕 부장은 “사드 배치의 결과는 남뿐만 아니라 본인에게도 해가 될 것”이라며 “한국은 낭떠러지에서 말 머리를 돌리고, 잘못된 길에서 더 잘못된 곳으로 계속해서 가지 않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한편 로이터통신 기자는 한반도 전쟁 가능성을 물으며 ‘말레이시아에서 북한 지도자 김정은의 이복형 김정남이 살해됐다’는 돌발 질문을 끼워 넣었다. 그러나 왕 부장은 김정남은 전혀 언급하지 않고 곧바로 북한과 한·미를 모두 비판하는 ‘양비론’에 집중했다. 왕 부장은 “북한은 국제사회의 반대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를 무시하고 고집스럽게 핵·미사일을 개발했고, 최근에도 미사일 4발을 쐈다”면서 북한을 비판한 뒤 “미국과 한국은 이 지역에서 대규모 군사훈련으로 북한을 압박하고 있다”며 한·미도 겨냥했다. 양측을 마주 보고 달리는 기차로 비유한 왕 부장은 “설마 양측이 정면충돌할 작정이냐”면서 “지금 해야 할 일은 붉은 등을 켜고 동시에 브레이크를 거는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7-03-09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