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내년부터 한 종류의 한약당 환자 100만명분의 데이터를 적용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하기로 하고, 관련 예산을 편성했다. 한약 성분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찾아 효과적인 복용법을 개발하고 인체 부작용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미지 확대
일본 도쿄 가스미가세키에 위치한 후생노동성 청사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일본 도쿄 가스미가세키에 위치한 후생노동성 청사
한약은 주로 식물의 뿌리, 줄기, 잎을 건조 등 방법을 통해 가공한 생약으로, 통상 한 가지만 이용하지 않고 여러가지를 조합해 처방한다. 일본에서는 감기에 좋다고 알려진 ‘갈근탕’ 등의 인기가 높으며, 현재 150가지 한약에 대해 건강보험이 적용되고 있다.
요미우리는 “한약은 주로 경험에 근거하고 있어 효능과 부작용이 나타나는 메커니즘 등이 알려져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검증 작업은 후생노동성과 정부 건강·의료전략추진본부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전국의 병원, 진료소, 간호시설 등을 통해 환자의 진찰기록, 간병일지 등에 나타난 한약 처방내역이나 실제 효과 등 정보를 수집한다.
이를 컴퓨터 프로그램에 돌려 빅데이터 자료를 추출하고 어느 정도의 기간 동안 어떤 방법으로 복용하면 부작용 없이 병을 낫게 할 수 있는지 등을 확인하게 된다. 수술을 통해 병의 원인을 제거하는 서양의학과의 효과적인 혼용 방안에 대해서도 검증이 이뤄진다. 이를 통해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에도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일본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