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병 북한군 일러스트. 우크라이나군 국가저항센터 홈페이지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가운데 5000명 이상이 죽거나 다쳤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외교안보전문지 내셔널인터레스트는 지난 1일 영국 국방부 보고서를 인용해 “북한군은 쿠르스크에서 우크라이나군에 대한 공격적 작전으로 5000명 이상 사상자를 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전했다.
우크라이나는 그간 북한군 사상자를 4000명 수준으로 추산했는데, 이보다 1000명 늘어난 수치다.
이는 북한군 초기 파병 규모의 절반에 육박한다고 해당 매체는 짚었다. 북한은 지난해 10월쯤 약 1만 1000여명 규모를 우크라이나 전선으로 파견했고, 지난 1~2월 3000명의 추가 병력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내셔널인터레스트는 “(북한군) 사상자 비율이 너무 높아지면서 러시아 지휘부는 북한군을 전선에서 철수시켰고, 평양이 3000명 증원군을 배치하고 나서 다시 전선으로 이동했다”고 전했다.
드론 공격 대응 능력이 취약한 북한군이 소모적 도보 작전에 지속해 투입되면서 사상자 비율이 많이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영국 국방부는 “북한군은 강력하지만 21세기에 맞게 훈련되고 장비를 갖춘 것 같지는 않다. 사상자의 상당수는 우크라이나 무인기 작전의 결과”라고 했다.
이런 북한군이 러시아 영토인 쿠르스크 이외의 전장에 투입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쟁 당사국이 아닌 북한이 우크라이나 영토로 침투하는 전투에 참여할 경우, 국제법적 문제 소지가 더 커지기 때문이다.영국 국방부는 “(북한군을)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우크라이나 주권 영토로 배치하려면 푸틴과 김정은의 승인이 필요할 것”이라며 “이 같은 움직임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국제적 지원을 강화할 수 있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