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일어서는 동방의 ‘스탄’들

다시 일어서는 동방의 ‘스탄’들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7-05-26 17:56
수정 2017-05-26 18: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실크로드 세계사/피터 프랭코판 지음/이재황 옮김/책과함께/1024쪽/5만 3000원
이미지 확대
세계 지도는 자기 나라를 중심으로 그려진다. 역사의 서술 방식과 비슷하다. 따라서 미국과 한국에서 낸 세계지도는 당연히 그 형태가 다르다. 그렇다면 객관적으로 그리고 고루 전 세계를 통찰할 수 있는 ‘가운데 땅’은 있을까. 새 책 ‘실크로드 세계사’는 서아시아와 중앙아시아가 ‘가운데 땅’이란 관점에서 서술된 책이다. 저자는 수천 년 동안 지구의 중심축이 됐던 곳이 동방과 서방 사이에 놓여 유럽과 태평양을 연결해 주던 이 지역이었다고 본다.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등의 ‘스탄’ 국가들, 이란 등 중동 그리고 러시아 등이 이 지역에 속한다. 이들 지역은 문명의 교차로였고 종교의 탄생지였으며, 거대 제국들이 명멸하고 온갖 물산과 사상이 교류하던 지역이었다. 저자는 이 지역을 ‘세계의 중심’ 또는 ‘아시아의 등뼈’라고 표현한다. 이 관점에서 보면 유럽도, 중국도 죄다 변방이다.

이 지역 중심의 세계사는 사실 낯설다. 우리가 배운 세계사와 다르기 때문이다. 익숙한 세계사는 서유럽이 주역이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 시작돼 기독교가 지배한 유럽, 이후 르네상스와 산업혁명을 거치며 발전하는 유럽과 미국의 탄생으로 이어지는 것이 골격이다. 하지만 여기엔 허구가 섞여 있다. 16세기 이전엔 서유럽이 세계사를 주도한 적이 없고 그럴 능력도 없었다. 이들이 세계사의 주도 세력으로 등장한 것은 콜럼버스로 대표되는 대탐험 시대 이후다. 신대륙을 정복하고 자원과 노동력을 수탈하면서 졸지에 팔자가 폈다.

저자는 ‘가운데 땅’의 재부상이 머지않았다고 본다. 가장 큰 근거는 자원이다. 이들 지역엔 석유 외에도 천연가스와 광물 자원이 많다. 자원 개발로 축적된 부는 정치적 발언권으로 이어진다. 저자는 러시아와 중국,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중심이 돼 결성한 상하이협력기구가 유럽연합의 대안이 될 가능성까지 있다고 전망한다.

물론 ‘가운데 땅’이 다시 세계사의 중심에 서리라 기대하기엔 현실이 너무 암담하다. 이란,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은 미국과 러시아에 연타당했고 옛 소련에서 갈라져 나온 중앙아시아 국가들 역시 내공이 일천하다. 하지만 ‘다시 일어서는 동방’은 이제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되어 가고 있다.

책 제목엔 바로 이런 속뜻이 담겨 있다. 실크 로드는 교류를 중심으로 쓴 세계사를 암시하는 표현이다. 교류의 통로를 일컫는 중의적 표현이지 둔황에서 동로마에 이르는 실제 교통로를 이르는 것은 아니다. 저자는 이 교역로가 다시 기지개를 켜고 있다고 본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7-05-2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