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이 ‘3·4 분산서비스거부’(DDoS·디도스) 공격에 대한 배후로 북한을 지목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2009년 7·7 디도스 공격 때도 북한 배후설이 제기됐지만 입증되지 않았다.
최 위원장은 8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업무보고에서 디도스 공격 진원지를 묻는 질문에 “북한이라고 추정한다.”고 답변했다.
최 위원장은 “구체적으로 어느 사이트에서 발생했는지는 모르지만 북한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그런 심증이 있다.”며 “발생 시점이 대체로 우리 안보 관계 훈련이 있었던 전후라는 공통점이 있는 등 여러 징후를 보면 그렇다.”고 말했다. 정부 인사가 3·4 디도스 공격에 대해 북한을 배후로 추정한다고 발언한 것은 처음이다.
정부는 악성코드 일일점검 대상 사이트를 기존 100만개에서 180만여개로 확대하고 사이버 침해 대응 민·관합동 모의훈련도 연간 1회에서 4회로 늘리기로 했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최 위원장은 8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업무보고에서 디도스 공격 진원지를 묻는 질문에 “북한이라고 추정한다.”고 답변했다.
최 위원장은 “구체적으로 어느 사이트에서 발생했는지는 모르지만 북한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그런 심증이 있다.”며 “발생 시점이 대체로 우리 안보 관계 훈련이 있었던 전후라는 공통점이 있는 등 여러 징후를 보면 그렇다.”고 말했다. 정부 인사가 3·4 디도스 공격에 대해 북한을 배후로 추정한다고 발언한 것은 처음이다.
정부는 악성코드 일일점검 대상 사이트를 기존 100만개에서 180만여개로 확대하고 사이버 침해 대응 민·관합동 모의훈련도 연간 1회에서 4회로 늘리기로 했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2011-03-09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