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의 야권연대 협상은 타결 시한을 이틀을 넘기며 22일만에 성사되기까지 무수한 우여곡절을 겪었다.
전략지역 및 경선지역 선정 결과가 총선 성적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각 당은 한치 양보 없는 협상을 펼쳤다.
상대 당으로 후보단일화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자당의 후보를 주저앉히는 과정에서 당내 갈등이 불거지기도 했다.
통합진보당은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 통합연대 등 3개 세력이 모인 만큼 각자의 이해관계가 달라 협상의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양당 실무협상 테이블에서 이견이 좁혀지는 부분도 통합진보당 각 세력의 입장에 따라 다시 벌어지는 경우가 일쑤였다.
민주당 핵심관계자는 협상 타결 시한인 8일 밤 “(통합진보당 내) 협상을 가로막는 세력이 있다”고 불만을 터뜨리기도 했다. 통합진보당 내에서 경선지역 확대를 강력하게 들고나온 유시민 공동대표를 겨냥한 발언이라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야권연대 협상은 지난달 17일 처음으로 실무대표가 만나면서 시작됐다. 민주당이 박선숙 의원을 실무협상 대표로 야권연대특별위원회를 설치한 직후다.
통합진보당은 지난 1월 16일 민주당 새 지도부가 출범하자마자 정당지지율을 기반으로 한 야권연대를 공식으로 제안했으나, 민주당은 당 정비를 이유로 들어 협상에 응하지 않았었다.
협상에 들어가기 전까지 양당 간에는 야권연대의 진정성 여부를 놓고 상당한 정치 공방이 오가기도 했다.
협상이 시작되기 전에는 석패율제가 걸림돌로 떠오르기도 했다. 당시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정개특위 간사가 석패율제 도입에 합의하자, 통합진보당이 이를 철회하지 않으면 야권연대에 응하지 않겠다고 으름장을 놓았기 때문이다.
협상과정에서 양당은 철저한 보안을 유지했다. 박선숙 의원은 협상 과정을 한명숙 대표에게만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전략지역 및 경선지역이 유력한 후보자들의 거센 반발이 예상됐기 때문이다.
이밖에 야권연대의 협상 구도를 유리하게 가져가기 위한 여론전도 협상 타결 막판까지 전개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는 언론에 공개된 협상 중간 내용에 대한 양당 간의 ‘진실게임’이 벌어지기도 했다.
협상이 미궁 속에 빠져들자 시민사회가 발벗고 나서 양당을 압박했다. ‘야권연대실현을 위한 비상시국회의’의 시민사회 원로들도 수차례 기자회견을 갖고 조속한 야권연대 타결을 촉구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전략지역 및 경선지역 선정 결과가 총선 성적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각 당은 한치 양보 없는 협상을 펼쳤다.
상대 당으로 후보단일화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자당의 후보를 주저앉히는 과정에서 당내 갈등이 불거지기도 했다.
통합진보당은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 통합연대 등 3개 세력이 모인 만큼 각자의 이해관계가 달라 협상의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양당 실무협상 테이블에서 이견이 좁혀지는 부분도 통합진보당 각 세력의 입장에 따라 다시 벌어지는 경우가 일쑤였다.
민주당 핵심관계자는 협상 타결 시한인 8일 밤 “(통합진보당 내) 협상을 가로막는 세력이 있다”고 불만을 터뜨리기도 했다. 통합진보당 내에서 경선지역 확대를 강력하게 들고나온 유시민 공동대표를 겨냥한 발언이라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야권연대 협상은 지난달 17일 처음으로 실무대표가 만나면서 시작됐다. 민주당이 박선숙 의원을 실무협상 대표로 야권연대특별위원회를 설치한 직후다.
통합진보당은 지난 1월 16일 민주당 새 지도부가 출범하자마자 정당지지율을 기반으로 한 야권연대를 공식으로 제안했으나, 민주당은 당 정비를 이유로 들어 협상에 응하지 않았었다.
협상에 들어가기 전까지 양당 간에는 야권연대의 진정성 여부를 놓고 상당한 정치 공방이 오가기도 했다.
협상이 시작되기 전에는 석패율제가 걸림돌로 떠오르기도 했다. 당시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정개특위 간사가 석패율제 도입에 합의하자, 통합진보당이 이를 철회하지 않으면 야권연대에 응하지 않겠다고 으름장을 놓았기 때문이다.
협상과정에서 양당은 철저한 보안을 유지했다. 박선숙 의원은 협상 과정을 한명숙 대표에게만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전략지역 및 경선지역이 유력한 후보자들의 거센 반발이 예상됐기 때문이다.
이밖에 야권연대의 협상 구도를 유리하게 가져가기 위한 여론전도 협상 타결 막판까지 전개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는 언론에 공개된 협상 중간 내용에 대한 양당 간의 ‘진실게임’이 벌어지기도 했다.
협상이 미궁 속에 빠져들자 시민사회가 발벗고 나서 양당을 압박했다. ‘야권연대실현을 위한 비상시국회의’의 시민사회 원로들도 수차례 기자회견을 갖고 조속한 야권연대 타결을 촉구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