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기준 없고 비율 파악 안돼...에너지 ‘줄줄’
원전 하나 줄이기 사업, 파격적인 쿨비즈 등 친환경 녹색도시 정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는 서울시가 정작 청사 사무실에서는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제품을 상당수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청사에서 사용하는 물품 구매 시 에너지 효율 관련 기준이 없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7/06/SSI_20120706012200.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7/06/SSI_20120706012200.jpg)
5일 서울신문이 ‘서울시 청사 냉장고 보유 현황’을 토대로 전체 제품의 에너지효율 등급을 분석한 결과 5월 말 현재 시 본청 각 부서에서 사용 중인 냉장고 379대 중 30%에 달하는 114개 제품의 에너지효율 등급이 5등급인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효율이 가장 좋은 1등급은 24대에 그쳤으며 2등급은 81대, 3등급 3대, 4등급은 16대였다.
또 1~5등급제 분류가 아니라 최저소비효율 달성률로 등급이 부여돼 있는 98대 제품 중에도 효율이 가장 낮은 ‘보통’이 80대로 가장 많았으며 ‘다소 높음’은 13대, 효율이 가장 좋은 ‘높음’은 5대에 그쳤다. 그 외 시에서 보유하고 있는 43대 제품은 제작연도가 오래돼 등급 자체가 부여되지 않았거나 지식경제부와 에너지관리공단, 각 제작사에서도 에너지 효율 등급을 확인할 수 없었다.
에너지효율등급에 따른 소비 전력량은 제품이나 사용 습관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5등급이 1등급보다 보통 30~40%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서울시는 에너지 절약을 강조하는 박원순 시장 취임 이후에도 효율 5등급 제품을 꾸준히 구입했다. 지난해 10월 이후 시가 새로 구입한 5대의 냉장고 중 1등급은 1대였으며 나머지 4대는 모두 5등급이었다.
이런 문제는 서울시가 물품을 구매·관리하는 데 에너지효율등급에 대한 기준을 따로 마련해 놓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시는 녹색제품 구매촉진조례를 2007년 제정해 저공해 자동차나 순환골재, 환경성적표지 인증제품 등 친환경 제품 구매를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도 제품의 에너지효율등급에 대한 기준이나 관련 강제 조항은 없다.
관리부서에서 물품의 모델명, 제조사, 구입일자 등 다양한 정보를 관리하고 있지만 에너지효율 등급에 대한 정보는 없어 전체적인 등급별 제품 비율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물품 구매나 관리에 에너지효율등급 부분은 감안하지 못했던 게 사실”이라며 “행정안전부 등 상급기관과의 논의도 필요하겠지만 작은 부분에서부터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기 위해 지적받은 사안을 적극 개선하겠다.”고 답했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