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진영 정책위의장은 10일 정부가 소득수준에 따라 보육지원을 차등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진 데 대해 “정부의 무소신, 무책임을 강력히 제기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무상보육에 관해서는 이미 지난해 예산을 확정할 때 정부와 여야가 합의한 사항”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예산은 당이, 국회가 마음대로 증액을 하지 못한다. 우리가 증액한 것은 정부도 이의가 없었기 때문”이라면서 “우리가 합의사항을 올해부터 실천하고 있는데 정부가 몇 달 만에 (입장을) 바꾼다면 국민이 어떻게 정부를 신뢰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특히 “정부는 소신을 갖고 일을 추진해야 한다”면서 “(지금 와서) 어떤 다른 얘기를 하는 것은 무소신, 무책임이며 책임을 추궁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보육료는 정부와 합의가 됐고 양육료에 대해선 아직 합의가 안 됐는데 당정협의를 통해 (약속이) 실천될 수 있도록 정부를 설득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진 정책위의장은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무상보육에 관해서는 이미 지난해 예산을 확정할 때 정부와 여야가 합의한 사항”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예산은 당이, 국회가 마음대로 증액을 하지 못한다. 우리가 증액한 것은 정부도 이의가 없었기 때문”이라면서 “우리가 합의사항을 올해부터 실천하고 있는데 정부가 몇 달 만에 (입장을) 바꾼다면 국민이 어떻게 정부를 신뢰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특히 “정부는 소신을 갖고 일을 추진해야 한다”면서 “(지금 와서) 어떤 다른 얘기를 하는 것은 무소신, 무책임이며 책임을 추궁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보육료는 정부와 합의가 됐고 양육료에 대해선 아직 합의가 안 됐는데 당정협의를 통해 (약속이) 실천될 수 있도록 정부를 설득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