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安측 “지분다툼 없다…새정치·기득권포기 결의”

민주-安측 “지분다툼 없다…새정치·기득권포기 결의”

입력 2014-03-05 00:00
업데이트 2014-03-05 1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9+9’ 지도부 첫 연석회의…통합 방식 최대 걸림돌될 듯민주 “신당과 당대당 통합”…安측 “민주당, 해산 후 합류해야”

‘제3지대 신당 창당’을 통한 통합을 선언한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은 5일 양당 통합과정에 기득권을 내려놓고 지분나누기 등으로 비쳐지는 일들은 하지 않기로 의견을 모았다.

하지만 통합 방식과 관련, 민주당은 제3지대 신당이 만들어지면 민주당이 신당과 ‘당대당 통합’하기로 합의됐다고 주장하는 반면, 새정치연합은 민주당도 해산 후 신당에 합류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 9명과 새정치연합 안철수 중앙운영위원장을 포함한 지도부 9명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상견례 겸 첫 연석회의를 갖고 신당 창당을 통해 새정치를 구현하고 민생챙기기에 적극 나서기로 합의했다.

민주당 박광온, 새정치연합 금태섭 대변인은 회의를 마친 뒤 브리핑을 통해 “양측은 안 위원장과 김 대표의 결단을 환영하고 두 대표 중심으로 함께 (어려움을) 뚫고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또 “오로지 국민만 보고 앞으로 가고, 국민의 눈으로 우리를 보기로 했다”면서 “새정치와 민생 등 큰 것을 지켜나가고 기득권과 같은 작은 것들은 서로 내려놓고 가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지분나누기 등으로 비쳐지는 일은 없을 것”이라면서 “있지도 않은 말을 만들어서 공격하는 세력에 대해선 단호히 대응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이날 회의에서 6·4 지방선거 공천 문제와 관련, “공천지분을 놓고 줄다리기 같은 것을 하지 않았다”며 “공천은 지분에 관계없이 정해진 절차에 따라 최적·최강의 후보를 내세워야 한다는데 (안 위원장과) 공감했다”고 말했다.

안 위원장은 “미완으로 그친 과거의 통합 사례를 답습해서는 안 된다. 더 내려놓아야 한다”면서 “우리의 첫걸음이 세 달 후 지방선거 결과를 좌우할 것이다. 2년 후 의회 권력을 바꿀 것이고, 2017년 정권교체의 시금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 양측에서 9명씩 참석한 멤버들은 향후 신당이 창당되면 임시 지도부를 구성하게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이럴 경우 신당은 18명의 매머드급 지도부를 갖추게 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신당 창당 시기에 이어 통합 방식을 놓고 양측간 입장차가 드러나면서 통합과정에 가장 큰 걸림돌로 떠오르고 있다.

신당추진단의 민주당측 공동단장인 설 훈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법적으로 여러 가지 문제들이 걸려 있어 민주당 해산 후 신당 합류는 안 된다”면서 “당대당 통합이 돼야 하고 그쪽(새정치연합)에서도 이해를 했다”고 말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당을 해산하고 신당에 합류하면 직전 총선 득표율에 따른 국고보조금이 지급되지 않기 때문에 올해만 55억여원, 2016년 총선때까지 150억원 이상 포기해야 한다”며 “새정치연합측도 이런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새정치연합 핵심관계자는 “제3신당 창당이라고 하면 논리적으로 나오는 게 민주당의 해산”이라면서 “안 위원장도 신당 창당 합의 당시 민주당이 해산하고 합류하는 것으로 이해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기득권을 내려놓고 새정치를 한다는 사람들이 다른 문제도 아니고 돈 문제 때문에 해산이 어렵다고 하면 말이 안맞지 않느냐”며 “우리로선 쉽게 합의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